
[현대해양] 한국미래기술교육연구원(KECFT, 대표 박희정)은 오는 12월 9일 서울 여의도 FKI타워에서 ‘IMO 규제 대응과 국내 해양·선박 산업의 미래 전략’을 주제로 한 세미나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국제해사기구(IMO)의 강화된 환경 규제가 시행을 앞둔 가운데, 이번 행사는 ‘온실가스 감축 규제 대응과 친환경 선박·연료 혁신 기술’을 부제로 진행된다.
IMO는 2027년부터 선박 탄소세를 도입할 예정이며, 탄소 기준을 충족하지 못한 선박에는 톤당 최대 380달러의 세금이 부과될 전망이다. 이는 사실상 노후 선박의 퇴출을 유도하는 규제로, 해운·조선업계 전반에 구조적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 IMO 규제 강화, 동시에 새로운 시장 열리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클락슨리서치에 따르면 2024년 전 세계 신조 발주 선박의 절반 이상이 친환경 선박으로 채워졌으며, 2030년까지 약 2,500억 달러 규모의 친환경 선박·연료 시장이 형성될 것으로 예상된다.
각국의 탄소중립 목표와 운송 부문의 대규모 에너지 전환 수요가 맞물리며 바이오연료가 핵심 대안으로 부상하고 있다. 글로벌 바이오연료 시장은 2023년 1,672억 달러에서 2032년까지 연평균 7% 이상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해양용 액체 바이오연료 시장은 2024년 31억1천만 달러에서 2032년 63억 달러 규모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세미나에서는 △IMO 온실가스 감축 규제 내용과 대응 방안 △IMO 친환경 선박 및 연료 품질 기준과 국적선사 대응 전략 △선박의 친환경 대체연료 및 OCCS 현황과 전망 △환경규제에 따른 선박·해운사 친환경 지원 정책 방향 △친환경 바이오 선박유 항만 공급망 구축 및 활성화 방안 △바이오 선박유 품종 개발 및 상용화 전략 등을 다룰 예정이다.
연구원 관계자는 “IMO 규제가 본격화되면서 국내 해운·조선 산업에는 단순한 기술 대응을 넘어 정책·시장·공급망을 아우르는 종합 전략 수립이 절실하다”며 “이번 세미나는 글로벌 규제 동향과 산업 현황을 점검하고, 기업 실무진과 산학연 전문가들이 친환경 연료 전환과 상용화 전략을 심도 있게 논의하는 자리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