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서비스

부터
까지


부터
까지

BPA, 북항 감만부두 2번 선석 운영사로 신선대감만터미널(주) 선정

신선대감만터미널(BPT)... 2026년 부산항 최대 컨테이너 터미널 구축

  • 기사입력 2025.11.12 21:24
  • 기자명 최재성 기자
BPT는 2026년부터 기존 신선대부두(5개 선석)와 감만부두2개 선석에 더해 추가 1개 선석까지 운영하게 되어, 총 2,550m 길이의 안벽에서 5만 톤급 선박 8척을 동시에 처리할 수 있는 부산항 최대 규모의 컨테이너 터미널을 갖추게 된다
BPT는 2026년부터 기존 신선대부두(5개 선석)와 감만부두2개 선석에 더해 추가 1개 선석까지 운영하게 되어, 총 2,550m 길이의 안벽에서 5만 톤급 선박 8척을 동시에 처리할 수 있는 부산항 최대 규모의 컨테이너 터미널을 갖추게 된다

[현대해양] 부산항만공사(BPA, 사장 송상근)는 12일 신선대감만터미널(주)(BPT, 구 부산항터미널)과 부산항 북항 감만부두 2번 선석 임대차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계약으로 BPA는 ‘북항 컨테이너부두 기능 재편 정책’의 마지막 단계를 마무리했다.

‘북항 컨테이너부두 기능 재편 정책’은 정부와 BPA가 2006년 신항 개장과 북항재개발사업 착수 이후 추진해온 항만 운영·체계 개선 정책이다. △운영사 통합, △일반부두 이전, △자성대부두 폐쇄 등을 통해 기존의 소규모·다수 터미널 체계에서 벗어나 효율적 시스템으로 전환, 부산항이 최대 환적항으로서 경쟁력을 갖추도록 추진돼왔다. 현재 북항은 부산항 전체 물동량의 27%(651만 TEU), 수출입 화물의 40%(420만 TEU)를 처리하고 있으며, 이는 인천항(356만 TEU), 광양항(201만 TEU), 울산항(40만 TEU)을 모두 합친 것보다 많은 수준이다.

BPA는 이번 신선대감만터미널(주)을 마지막으로 부두 개편을 마무리하고 인트라 아시아(Intra-Asia) 중심의 거점항으로서 부산항의 입지를 공고히 할 계획이다
BPA는 이번 신선대감만터미널(주)을 마지막으로 부두 개편을 마무리하고 인트라 아시아(Intra-Asia) 중심의 거점항으로서 부산항의 입지를 공고히 할 계획이다

인트라 아시아(Intra-Asia)는 아시아 역내에서만 운항하는 해운 서비스를 의미하는데, BPA는 중소형 선박이 주로 이용하는 인트라 아시아(Intra-Asia) 구간 북항의 특성을 반영해 맞춤형 장비로 재정비하고 노후 인프라를 정비할 계획이다.

송상근 부산항만공사 사장은 “노후화된 인프라를 선박 규모와 운영 여건에 맞게 효율적으로 재편하고, 북항 3개 부두 간 연계운영을 단계적으로 추진해 선사의 운항 효율성과 경쟁력을 높이겠다”며, “부두 간 자원 공유와 통합운영 체계를 구축해 규모의 경제와 운영 시너지를 실현하고, 북항의 종합 운영 경쟁력과 항만 서비스 품질을 한층 강화할 것”라고 밝혔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