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대해양] 해양수산부가 지난 3일 부산 BNK금융그룹 본사에서 ‘해양수도권 육성 및 해양금융 생태계 조성’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자, 수산업계에서는 정책 파트너십의 균형이 흔들릴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협약에는 해양수도권 육성, 친환경 해운항만 산업 추진, 수산업의 기후변화 대응 전환, 어촌경제 활성화, 해양환경 관리,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 지원 등 주요 과제가 포함됐다.
BNK금융그룹은 “이번 협약을 통해 해양수산부의 전략사업에 금융 파트너로 참여해 지역 혁신과 지속가능한 성장을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BNK부산은행은 내외부 전문가로 구성된 ‘해양금융미래전략 싱크랩’을 출범시키며 해양금융 강화에 나섰다.
그러나 수산업계에서는 오랜 기간 해양·수산금융의 주요 파트너로 해수부 정책금융을 수행해온 Sh수협은행이 이번 협력 체계에 포함되지 않은 점에 아쉬움을 표하고 있다. Sh수협은행은 어업인 지원, 수산물 유통, 어촌경제 활성화 등 현장 중심의 금융 인프라를 구축해온 기관으로, 정책 연속성과 상징성을 고려할 때 역할이 함께 논의됐어야 한다는 지적이다.
특히 수협은행은 일반 금융기관과 달리 수익의 일부를 명칭사용료 형태로 매년 약 600억원 이상 수협중앙회에 귀속시켜 중앙회가 전국 어업인을 위한 지도사업과 환원사업 등 공익적 목적에 재투입하는 구조로 운영하고 있다. 이러한 순환형 금융체계는 어촌경제 유지와 수산업 발전에 직결되는 공공금융 모델로 평가된다.
과거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이 해수부 장관 시절 강조했던 ‘어업인 중심 행정’과 ‘자율관리어업’의 철학이 해수부와 수협의 오랜 신뢰 기반을 다져온 만큼, 이번 협약을 두고 수산업계에서는 “정책의 효율도 중요하지만, 함께 쌓아온 신뢰의 무게를 잊지 말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