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대해양]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을 앞두고 해양수도 부산 건설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가운데 부산의 수산업 미래 발전 방안 모색 토론회가 열려 관심을 모았다.
(사)부산수산정책포럼은 지난 2일 부산항 국제전시컨벤션센터 이벤트홀에서 ‘부산의 수산업 미래 발전 방안 모색 토론회’를 열고 부산 수산 발전 방안에 대해 집중 논의했다.

이날 김학균 (사)부산수산정책포럼 대표 이사장은 개회사에서 “부산이 보유한 글로벌 수준의 해양수산 인프라를 기반으로 해수부 및 해양수산 공공기관 통합 이전, 해양수산 허브도시로 중추기능 강화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진단했다. 이어 김 이사장은 “현장의 목소리를 모아 지속 가능한 수산업, 첨단 기술과 융복합화, 스마트 수산업, 청년이 돌아오는 부산 수산업을 모색하고자 한다”고 취지를 밝혔다.

이어 이날의 주제 ‘해양수도 부산의 수산업 미래 발전’을 위한 첫 번째 과제 발표에 나선 김도훈 국립부경대학교 교수는 ‘해수부 부산 이전과 지역 수산정책의 과제 및 대응전략’ 제목으로 발표했다. 김 교수는 해수부 이전의 의미와 행정 중심 이전의 파급효과, 부산 수산업의 현황 진단과 미래 성장 가능성 등에 집중했다.
김 교수는 △연근해 어업 구조조정 및 선진화 △스마트 양식업 발전 △블루푸드산업 육성 △해양바이오/블루푸드테크산업 육성 △원양산업 발전 등 지역 수산정책 10대 과제를 발표해 관심을 모으기도 했다.
특히 김 교수는 “글로벌 수산업으로의 ‘진짜 성장’을 위한 네트워크 강화 방안으로 해양수산 관련 기관들의 정보 및 기술교류 활성화를 통한 집적효과 극대화를 도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두 번째 과제 발표는 ‘해양 수산 정책 및 지원체계 혁신방안’으로 장하용 부산연구원 미래전략기획실장이 발표에 나섰다. 장 실장은 ‘민관협력 기관의 정책추진 과제, 인재 양성 혁신을 통한 지역 수산업 지지 전략’ 등에 대해 집중했다. 장 실장은 “지역 해양수산 전담기구의 필요성에 대해 언급했다. 그는 “해양수산정책 및 지원체계 혁신을 위해 지역 해양수산 전담기구가 시급하다”고 역설했다.
세 번째 과제는 조헌주 KMI 부연구위원이 맡았다. 조 부연구위원은 “첨단 기술을 활용한 지속 가능한 수산업 생태계 조성 방안-수산식품·스마트양식·친환경 수산업·전환어업 등 전략산업 육성에 대해 피력했다. 조 부연구위원은 “지속 가능한 수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한 수산 기자재산업 육성 및 스마트화 촉진에 관한 법률안‘의 신속한 제정이 필요하다”고 강력 주장했다.
주제 발표 이후에는 황준성 해수부 수산정책과장, 최정화 국립부경대 교수, 정성재 국립수산과학원 해양수산연구관, 오성태 부산시수협 조합장, 공경석 부산수산기자재생산자협회장, 송영택 현대해양 발행인, 장종수 덕화푸드 대표 등이 패널로 나와 종합토론을 벌였다. 좌장은 손재학 국립부경대 교수(전 해수부 차관)이가 맡았다.

종합토론에서도 다양한 해양수도 부산의 수산업 미래 발전을 위한 방안이 논의됐다. 송영택 현대해양 발행인은 부산의 수산업 발전을 위한 방안으로 집적된 관계서비스를 지목해 관심을 모았다.
그는 “산업이 쇠퇴기에 들어갈 때 새로운 성장동력을 찾아 리엔지니어링을 해야 하는데 위험부담에 투자가 꺼려진다면 자본, 기술, 노하우가 모여야 한다”며 금융, 보험, 법률 등 집적된 관계서비스업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날 행사는 부산시, 해수부, 부경대, 한국해양수산개발원, 부산시수협조합장협의회가 후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