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서비스

부터
까지


부터
까지

수과원, 킹넙치 보급으로 양식 넙치 생산성 상승

  • 기사입력 2025.06.19 09:29
  • 기자명 나준수 기자
수과원은 자체 개발한 킹넙치를 보급해 국내 넙치 양식산업에 기여했음을 밝혔다.
수과원은 자체 개발한 킹넙치를 보급해 국내 넙치 양식산업에 기여했음을 밝혔다.

[현대해양] 해양수산부 국립수산과학원장(원장 최용석)은 자체 개발한 킹넙치를 보급해 국내 넙치 양식산업의 생산성 향상에 기여해왔음을 과학적으로 입증했다고 밝혔다. 킹넙치는 2004년부터 선발 육종기술을 이용해 개량한 품종으로 일반넙치 보다 성장이 30% 이상 빠른 육종 넙치의 브랜드 명칭이다.

수과원은 ’10년부터 일반 양식넙치 보다 성장 속도가 30% 이상 빠른 킹넙치 수정란을 보급하였으며, ‘20년부터는 킹넙치 친어를 민간 기술이전으로 현장에 보급해왔다. 지난 20년간 지속적으로 양식현장을 모니터링한 결과, 킹넙치 수정란을 보급한 이후에 일반 양식넙치의 성장 속도도 빨라졌음을 확인했다. 

육종기술이 도입되지 않은 품종인 참돔, 돌돔, 조피볼락은 지난 20년간 성장률이 소폭 상승하거나 정체돼 있은 반면, 일반 양식넙치는 킹넙치의 성장 속도와 비례해 빨라졌다. 또한 6만 개의 유전자칩으로 혈연관계를 분석한 결과, 일반 양식넙치의 40%가 킹넙치와 5촌 이내의 혈연관계라는 것이 밝혀졌다.  그동안 킹넙치가 양식 생산량 증대에 이바지했을 것으로 추정해 왔으나, 이번 연구를 통해 과학적인 근거가 확보됐으며, 관련 내용이 국제저명학술지( ‘PLoS ONE (IF=3.7)’/4월호)에 게재돼 그 중요성을 더하고 있다. 

최용석 국립수산과학원장은 “이번 연구 결과는 킹넙치의 개발과 보급이 국내 넙치 양식산업의 경쟁력 강화에 실질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성과이며, 앞으로도 변화하는 양식 환경에 적합한 맞춤형 품종개발과 보급을 통해 어업인의 소득증대와 지속가능한 수산업 발전을 위해 더욱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