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해양] 식량 공급과 경제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수산업이 최근 기후 변화, 환경 오염, 자원 고갈 등 여러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 해결과 지속 가능한 수산업 발전을 위해 데이터와 기술에 기반한 혁신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현재 모든 산업 분야에서 인공지능(AI)이 활용되고 있으며, 수산업에서도 빅데이터 수집과 확보를 위한 다양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런 이유로 수산 자원, 환경, 생산 등 여러 분야에서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정책 의사 결정이 중요해졌다. 또한, 수산업은 기후 변화의 영향을 많이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수온, 해류 변화 등에 대한 관측과 예측이 필요하다. 하지만 여전히 선진국 수준의 데이터와 기술력 확보를 위해 보완해야 할 부분이 많다.
첫째, 수산 전용 인공위성을 발사해야 한다. 현재 우리나라는 프랑스와 함께 천리안 위성을 통해 해양 정보를 수집하고 있으며, 2026년에는 ‘글리머(GLIMR)’라는 두 번째 정지궤도 해양관측위성을 발사할 계획이다. 그러나 근해와 원양의 수산 현장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달하고 조업선 승선원들이 복지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자체 위성이 없다. 해양수산부는 연근해 및 원양의 전자모니터링 시스템으로 조업현장 정보와 해양환경을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조업선들이 저렴한 통신 요금으로 이용이 가능한 수산 전용 인공위성을 조속히 발사해야 한다.
둘째, 수산 전용 데이터센터를 확보해야 한다. 부산시와 국립부경대학교는 2023년부터 스마트 양식 빅데이터센터 건립을 추진하고 있다. 해양수산부가 스마트 양식 기술로 양식 산업을 한 단계 도약하기 위해서 현재 추진하고 있는 스마트 클러스터 단지에서 확보된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이 센터를 신속히 완공하고 운영해야 한다.
아울러, 2014년 이후 구축된 수산자원 조사 인프라사업으로 만들어진 자원 조사와 조업 현황 데이터를 통합적으로 관리하고, 정부가 2027년 추진할 전업종 전어종 TAC(총허용어획량) 지원 및 기후 변화에 대응한 수산자원의 장단기 변동 예측을 위한 수산업 빅데이터센터를 설치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수산기자재 관련법을 신속히 제정해야 한다. 2024년 제22대 국회에서 조승환 의원이 발의한 「수산기자재 산업의 지속적인 성장과 발전을 위한 법률안」이 국회에서 통과되지 않았다. 제21대 국회에서 수산기자재 육성과 관련해 「수산기자재 산업 육성법률안」(2020년 7월 윤재갑 의원 대표 발의)과 「스마트 수산기자재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안」(2023년 1월 안병길 의원 대표 발의)이 발의되었지만 진전을 이루지 못했다. 수산업을 기술 기반 산업으로 변화하도록 제도화하고, 시장의 잠재적 가치를 고려할 때 관련법을 조속히 제정해야 한다.
현대사회는 데이터와 기술에 의해 변모하고 있다. 수산업이 미래식량산업의 중요한 축임을 고려할 때, 미래 세대의 건강을 책임질 블루푸드의 기반이 되어야 한다. 따라서 과감한 투자가 속히 이루어져야 하며,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전략적 노력이 필요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