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해양] 근래 들어 수산 쪽 이슈가 많이 부각 되고 있습니다.
먼저 어선 안전사고가 연이어 발생하고 있습니다. 중대재해처벌법 시행 등 안전에 대한 사회적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수산 쪽이 뒤처지고 있다는 반증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지난 겨울에는 물김 값이 폭락해 어업인들을 실의에 빠뜨렸습니다. 김의 세계화에 편승한 과잉 생산을 예측하지 못해 벌어진 혼란이 있었습니다.
기후위기 적응 대책도 시급해 보입니다. 대상 어종과 어획량이 급격히 변화하고 있어 전국 연안 어업인들이 걱정을 많이 하고 있습니다. 수온 급변에 따른 양식 어가의 피해는 일상이 되고 있습니다. 어업인의 거점 공간인 어촌의 쇠락도 심각합니다. 해상풍력 등 연안 개발에 대한 대응과 노동집약적인 수산의 첨단산업화도 큰 숙제인 듯합니다.
수산이란 바다에서 생산되는 동·식물 등을 잡고, 기르고 보관·가공·판매하며 부가가치를 만들어 내는 산업입니다. 이에 변화하는 환경에 적응하며 자원을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 속에는 수산만이 가지는 독특한 메커니즘이 작동합니다. 이를 이해하려면 전문적인 지식과 오랜 현장 경험이 있어야합니다. 수산 예산을 다뤄봐 수산을 잘 안다고 한 공무원을 만난 적이 있는데 어불성설입니다.
혹자는 수산은 사양산업이라고 하지만 인류가 생존하는 한 식량 산업으로 그 존재감은 유지될 것이고 오히려 더 부각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해양수산부 내에서도 수산은 대국민 접촉면이 많고 전후방 효과가 커 적극 행정이 필요한 분야입니다.
그러나 이렇게 중요한 분야임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해양수산부가 배출한 역대 해양수산부 장관 중에는 수산 출신은 단 한 명도 없습니다.
지금까지 해양수산부 장관은 23명이 배출되었는데 정치권에서 오기도 하고 관료, 학계, 국방계, 해양과학계 등 각 분야에서 나왔지만 유독 수산 분야만 장관이 나오지 않았습니다. 해양수산부 내 자체 발탁된 인물 중에서도 수산에 뿌리를 둔 인사는 차관까지 였습니다.
장관이라는 자리가 특정 분야만 살피는 자리는 아니겠지만 수장이 재임 중 어디에 관심을 두고 있느냐는 일선 현장에서는 그 파급효과가 지대할 것입니다.
지금 수산이 전반적으로 늙어가고 있어 새로운 돌파구를 찾아야 하는 시점이기에 수산 출신 장관의 발탁이 더욱 필요한 때입니다.
다른 관점에서 보면 그동안 수산 출신 장관이 나오지 못한 것은 수산계를 대변할 눈에 띄는 인재가 없었기 때문일 수도 있습니다. 이는 수산계가 전략적으로 인물을 키워내는 풍토를 만들지 못한 것에도 이유가 있습니다. 구심점을 만들지 못한 원로와 리더들의 책임도 클 것입니다.
뜬금없이 이 시기에 수산 출신 장관을 운운하느냐고 갸우뚱할 수도 있겠으나 혼란한 정국이 어떤 방향으로 결정 나더라도 몇 달 후 정권은 새 장관의 물색할 것이기에 수산계에서 미리 준비를 해보라는 뜻에서 몇 자 적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