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태평양 풍력 시장의 중심으로 떠오를 가능성을 점치는 글로벌 행사가 한국에서 개최됐다. 한국풍력산업협회(이하 풍력협회)와 세계풍력협의회(GWEC)가 공동 주최하는 ‘아시아태평양 풍력에너지 서밋 2024’가 26일 인천 송도컨벤시아에서 개막하며 이틀간의 일정에 들어갔다. 지난해 호주에서 첫 개최된 후 두 번째를 맞이하는 이번 서밋은 한국에서는 처음 열리는 풍력발전 관련 글로벌 행사로 주목받고 있다.
‘아시아태평양이 선도하는 재생에너지 시대’라는 주제로 열리는 이번 행사는 아태지역을 중심으로 산업계 리더, 정책입안자, 유관 단체가 모여 산업이 직면하고 있는 이슈를 논의하고 나아가 풍력발전 보급을 가속화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에 맞춰 이번 서밋에서는 우리나라를 포함한 아태 지역의 금융, 공급망, 인프라 등 다양한 분야가 다뤄졌다.
첫날에는 APAC 지역 장관 포럼에서 각국 장관들이 자국의 풍력 정책을 발표했으며, △고위급 풍력에너지 포럼 △아태 해상풍력 시장 집중 조망 △한국 전력망 현대화 및 유연성 강화 등 세션이 진행됐다.
둘째 날에는 금융과 프로젝트 개발을 논의하는 ‘아태 클린에너지 금융 서밋’이 열려 수출 신용 기관, 개발 금융 기관, 시중 은행, 금융 전문가들이 재생에너지 분야의 협력을 모색한다.
또한 부대 행사로 ‘제2회 한국-노르웨이 해상풍력 비즈니스 포럼’과 ‘한국-싱가포르 해상풍력의 날’이 진행되며, 풍력협회는 노르웨이 및 싱가포르 풍력 산업 단체와 포괄적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한다.
김형근 한국풍력산업협회장은 “이번 서밋은 글로벌 선도기업뿐만 아니라 전 세계 12개국에서 정부 고위 관계자들이 참석한 자리로, 대한민국 풍력산업이 글로벌 무대에 본격적으로 발돋움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풍력에너지 분야에서 한국의 시장 경쟁력과 기술력을 세계에 알릴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벤 벡웰 GWEC CEO는 “한국의 에너지 전환을 적극적으로 옹호해온 대한민국 국회의원 우원식 의원께서 GWEC 아시아 태평양 풍력에너지 서밋(APAC Wind Energy Summit)의 귀빈으로 참석하시고, 현지 정책 결정자 및 싱크탱크와 함께 하신다는 점은 풍력 발전이 한국의 탈탄소화 계획에서 중요한 해법으로 인정받고 있음을 보여준다”며 “한국과 같은 신흥 시장은 2030년까지 재생 가능 에너지를 3배로 늘리려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중요한 역할을 맡으며 행동의 중심인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 성공하지 못한다면 다른 곳에서도 성공할 수 없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