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대해양] 해상풍력용 CLV(Cable Laying Vessel) 포설선 팔로스호가 전세계 해상풍력 시장 선점에 나섰다.
충남도와 대한전선은 대한전선 당진 해저케이블공장이 위치한 아산국가단지 고대부두에서 6,200톤급 해저케이블 포설선 ‘팔로스(PALOS)’의 취항식을 24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날 취항식에는 김태흠 충남도지사, 오성환 당진시장, 김선규 호반그룹 회장, 송종민 대한전선 부회장, 이호현 산업통상자원부 에너지정책실장 등 200여 명이 참석했다.
해상풍력 시장은 탄소중립 흐름에 따라 급성장 중으로 도는 당진에 세계 최대규모의 단일전선 공장을 비롯해 기술연구소, 전력기기 공장, 해저케이블 공장 등 핵심시설을 구축했으며, 이번 포설선 취항으로 전세계 시장을 주도할 만반의 준비를 마쳤다.
지난해 네덜란드 보스칼리스(Boskalis)사로부터 인수한 국내 유일의 해상풍력용 CLV 포설선 팔로스호는 당진공장에서 생산되는 해저케이블을 전세계에 싣고 나가 시공한다.
바지선을 개조해 만든 CLB(Cable Laying Barge) 대비 자체 항해 능력 및 위치제어시스템을 갖추고 있어 케이블 운송 및 포설 공정기간 단축, 안정성을 확보한 것이 장점이다.
실제 최대속도는 9knot, 평균 시공속도는 13km/day로, CLB 3knot, 3km/day 보다 월등히 뛰어나다.
팔로스는 스페인 도시명으로, 팔로스 데 라 프론테라는 스페인 남서부 안달루시아 자치지역 우엘바주의 도시로, 1492년 콜럼버스가 신대륙 탐험을 위해 출항한 장소로 유명하다.
대한전선은 2011년 당진 전선공장 건설 이후 도내에서 줄곧 케이블을 제조해 오고 있으며, 올해 당진 해저케이블 1공장을 준공하고, 2단계 증설 중이다.
이날 송종민 대한전선 부회장은 “오늘 취항식을 기점으로 대한민국은 전 세계적으로 30여 척에 불과한 CLV를 보유하는 국가로 도약했다”며 “팔로스는 대한전선의 시공경쟁력을 강화시키는 동력이자 대한민국 해상풍력 시장을 해외로부터 보호하는 중요한 전략자산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또 그는 “해저케이블 공장을 추가로 건설하고, 향후 더 큰 규모의 포설선을 확보해 글로벌 해상풍력 산업의 강자로 거듭나 국가 경쟁력 강화와 에너지 안보에 기여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태흠 충남도지사는 “전세계의 탄소중립정책에 따라 해상풍력발전이 증가하면서 해저케이블이 전선산업의 미래 핵심 먹거리로 부상하고 있다”며 “콜럼버스가 팔로스항을 출발해 신대륙을 발견했다면 이제 대한전선이 팔로스호를 통해 더 큰 시장을 개척할 차례”라고 말했다.
이어 김 지사는 “충남도는 베이밸리를 통해 교통과 물류를 획기적으로 개선하고, 기업성장에 필수적인 청년 우수인력이 앞다퉈 들어오도록 할 것”이라며 “2공장도 하루 빨리 가동할 수 있도록 행정적 지원 등 대한전선의 발전을 든든하게 뒷받침하겠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