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촌사회의 구조적 문제 완화방안…민간주도 생태계 마련에 초점 두어야
어촌사회의 구조적 문제 완화방안…민간주도 생태계 마련에 초점 두어야
  • KMI 수산연구본부 박상우 부연구위원
  • 승인 2015.06.01 16:0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어촌 삶의 질 향상의 첫 걸음, 6차산업화 어떻게 하나
Special Thema ② 어촌 6차산업화 활성화를 위한 전략과 과제


일자리와 융·복합 통한 고부가가치 소득 창출 필요

어촌은 전통적으로 수산업을 기반으로 발전해 온 지역공동체이다. 어업여건이 좋았던 30~40년 전에는 어업활동만으로도 ‘어촌의 개도 만 원짜리 지폐를 물고 다녔다’는 우스개 소리가 오래된 이야기는 아니다. 어촌은 조업이 끝나고 육지로 돌아오면 두둑한 현금과 가족들이 기다리고 있는 곳이었다.

또한 갓난아이의 울음소리가 담장 넘어 들리고, 동네 아이들의 뛰노는 소리가 넘쳐나는 곳이었다. 하지만 오늘날 우리 어촌의 모습은 어떠한가? 일자리가 감소하고, 젊은 층이 떠난 어촌에서는 이제 갓난아이의 울음소리와 아이들의 뛰노는 소리는 더 이상 듣기 힘들어졌다. 수산업의 쇠퇴와 함께 어촌의 인구는 감소하고, 급속한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어촌사회의 폐쇄성으로 인한 진입장벽 문제는 어촌의 공동화 현상을 더욱 심화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또한, 단순생산 중심의 전통산업 수준에 머물러 있는 어촌경제는 갈수록 어려워지고 있다. 하지만 어촌이 겪고 있는 위기를 단순하게 산업구조의 변화에 따른 불가피한 문제로 인식하고 방치해서는 안 되는 중요하고도 단순한 이유가 있다. 우리 식탁의 안전한 수산물 먹거리를 생산하는 어업인과 이들의 삶의 터전인 어촌이 사라진다면 결국 피해는 우리 모두에게 되돌아 올 것이기 때문이다.

해양수산부에서 추진하는 어촌 6차산업화 정책은 어촌사회의 진입장벽 문제를 완화하여 개방과 협력을 도모하고, 어촌산업의 다각화·고도화를 추구함으로써 어촌에 새로운 소득원과 일자리 창출, 고부가가치화 등을 통해 활력을 모색하는 방안으로써 새롭게 주목을 받고있다.

특히, ‘어촌특화발전 지원 특별법’ 개정(2015.3.27.)에 따라 어촌 6차산업화를 추진할 수 있는 법적근거와 6차산업화 사업자를 위한 중간전담조직(어촌특화지원센터), 보조 및 융자 등 지원방안이 마련되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최근 어촌에서 대두되고 있는 어촌 6차산업화의 필요성과 개념, 국내외 사례를 통한 추진전략과 과제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이하 내용은 월간 현대해양 2015년 6월호(통권 542호)를 통해 보실 수 있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