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세대 탄소흡수원 ‘블루카본’
차세대 탄소흡수원 ‘블루카본’
  • 권봉오 군산대 해양생물자원학과 교수
  • 승인 2022.04.13 07:4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바다에서 탄소흡수원 찾아야
권봉오 군산대 해양생물자원학과 교수
권봉오 군산대 해양생물자원학과 교수

[현대해양] 지난 3월 25일에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법’(탄소중립기본법)이 시행되었다. 이로써 2020년 하반기에 정부에서 탄소중립을 선언하고 2021년 9월 탄소중립기본법이 제정·공포된 이후 6개월 유예기간을 거쳐 시행된 것이다. 이로써 우리나라는 2050 탄소중립 비전을 법제화한 14번째 국가가 되었다. 탄소중립기본법의 핵심은 ‘2050년 탄소중립 실현’과 ‘2030년 국가온실가스 감축목표(NDC) 40%’이다. 탄소중립은 온실가스 배출량은 줄이고, 흡수량을 늘려서 순배출 제로를 만드는 것이다.

2021년 ‘국가온실가스 인벤토리 보고서’에 의하면, 2019년 한 해 동안 7억 137만 톤(CO2eq)의 온실가스가 배출되었으며, 이 중 약 3,955만 톤이 산림지, 농경지, 초지 등에 흡수되었다. 그런데 흡수량이 2000년 5,898만 톤을 최대로 해마다 줄어들고 있으며, 2030년에는 2,210만 톤으로 줄어들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이는 산림이 노후화되면서 흡수능력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2030년 NDC 40% 달성과 2050년 탄소중립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새로운 탄소흡수원을 찾아야 하는 상황이며, 새로운 흡수원으로 해양이 주목받고 있다.

 

온실가스 육상 흡수 줄어

최근에 발표된 ‘2021년 전 지구 탄소수지 보고서(Global Carbon Budget 2021)’에 따르면, 2020년 한 해 동안 374억 톤의 이산화탄소(CO2)가 배출되었는데, 이 중 108억 톤이 바다로 흡수되었고, 104억 톤이 육상으로 흡수되었으며, 나머지 180억 톤이 대기 중에 남아 이산화탄소 농도가 약 2.4ppm이 증가하여 412ppm이 되었다고 한다. 2011~2020년 사이 10년 평균을 보더라도, 연간 389억 톤의 온실가스(CO2)가 배출되었는데, 이 중 102억 톤이 바다로 흡수되었고, 112억 톤이 육상으로 흡수되었으며, 나머지 186억 톤이 대기 중에 남아 지구 온난화를 가속시키고 있다. 흥미로운 것은 2020년 한 해 평균을 보면 전체적으로 온실가스 배출은 줄어든 반면, 육상 흡수는 줄어들고, 바다의 흡수력은 증가했다는 것이다.

온실가스 배출이 줄어든 것은 코로나19로 인한 경제활동 감소가 주요인으로 분석되며, 육상 흡수가 줄어든 것은 산불 등 자연재해로 인한 산림감소 및 이산화탄소 배출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이러한 통계는 새로운 흡수원으로서 해양을 주목해야 하는 이유일 것이다.

국제적으로도 산림 탄소흡수원이 인정된 것은 1997년 교토의정서부터이며, 이후 몇 차례 개정을 통해 신규/재조림, 산림전용, 산림경영 활동 등이 감축수단으로 인정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2010년부터 작성 시작한 국가온실가스인벤토리에 산림이 포함되어 있다. 그에 비해 해양탄소흡수원은 뒤늦게 주목받기 시작했다. 2009년 IUCN에서 발간한 ‘The Management of Natural Coastal Carbon Sinks’와 ‘Blue Carbon: The Role of Healthy Oceans in Binding Carbon’ 보고서를 통해서 해양탄소흡수원으로 맹그로브, 염습지, 해초지 등이 주목받기 시작했으며, 2013년 개정된 IPCC 국가온실가스인베토리 작성 가이드라인 부속서에 탄소흡수원으로 추가되었고, 감축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

 

NDC에 블루카본 포함 추세

연안 및 해양생태계에 저장되어 있는 탄소를 블루카본(Blue Carbon)이라고 한다. 앞서 언급한 맹그로브, 염습지, 해초지가 대표적인 블루카본이며, 이 모든 서식지는 연안에 집중되어 있다. 블루카본 이니셔티브(Blue Carbon Initiative)에 따르면, 전 지구 탄소 순환의 83%는 해양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으며, 해양면적의 연안은 2%에 불과하지만, 해양퇴적물에 저장된 탄소의 50%는 연안에 저장되어 있다고 한다. 그만큼 연안의 블루카본이 탄소순환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는 것이다.

2013년 블루카본을 탄소 감축원으로 활용하게 되면서, 전 세계적으로 여러 나라에서 블루카본을 국가온실가스 감축목표(NDC)에 포함시키고 있다. 2021년 10월 통계에 의하면 NDC를 제출한 118개 국가 중에서 총 71개 국가에서 해양생태계를 활용한 감축원(블루카본)을 포함시켰다. 애석하게도 우리나라는 아직 71개 국가에 포함되지 못하고 있다. 우리나라 해양수산부에서는 2017년부터 2021년까지 ‘국내 블루카본 정보시스템 구축 및 평가관리기술 개발’ 연구를 통해서, 블루카본 국가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였으며, 2024년에 국가온실가스 인벤토리에 포함시킬 예정이다.

이 연구에 참여했던 서울대 김종성 교수 연구팀에서는 우리나라 갯벌에서 한 해 동안 최대 48만 4,000톤의 온실가스를 흡수·저장하고 있다는 것을 밝혀냈다. 갯벌은 아직 국제적으로 흡수원으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 하지만, 지난해 국제 비정부기구인 국제보존협회(Conservation International: 미국 워싱턴DC 소재 환경기구로 1987년 창립, 현재 29개국 1,000여 명의 활동가와 2,000여 명의 전문가가 활동하고 있다)에서 발간한 보고서에 의하면, 신규 블루카본으로 갯벌이 포함되어 있다. 이 보고서에는 갯벌뿐만 아니라, 해조류와 해양퇴적물도 신규 블루카본으로 보고하고 있다. 이 보고서에는 세계적인 블루카본 전문가 16명이 참여하여 권위를 인정받고 있다.

 

탄소네거티브 달성 전략

지난해 12월 해양수산부가 ‘해양수산분야 2050 탄소중립 로드맵’을 발표하면서, 2050 해양수산분야 탄소배출량을 –323만 7,000톤으로 하겠다고 발표했다. 해양수산분야에서 탄소중립을 넘어서서 탄소네거티브를 달성하겠다는 것이다. 이중 블루카본을 통해서 136만 2,000톤을 흡수하겠다는 것이 해양수산부의 계획이다. 앞서 언급한 대로 갯벌이 최대 49만 톤을 흡수한다고 하더라도, 나머지 90만 톤을 추가로 흡수하기 위해서는 추가 흡수원이 필요한 상황이다. 해양수산부 계획대로 탄소네거티브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3가지 전략이 필요하다.

첫째, 기존 블루카본(염습지, 해초지) 서식지 복원을 통한 탄소감축 정책을 펼쳐야 한다.

해양수산부에서는 올해 갯벌식생복원사업을 4개소를 선정하여 시범사업을 시행하기로 했다. 본 사업을 통해서 온실가스 저감뿐만 아니라 해양생물 서식지, 휴게 공간 등 해양생태계 서비스 가치 증진과 생태관광 활성화도 기대된다.

갯벌식생복원사업뿐만 아니라, 콘크리트로 덮여 있는 해안선을 자연해안선으로 복원하는 사업도 필요하다. 해양수산부가 운영하는 연안포털(coast.mof.go.kr) 자료에 의하면, 우리나라 해안선은 1만 4,962.8km이며, 이 중 51.8%인 7,752.5km가 육상이다. 다시 이 중 51.4%인 3,982.4km가 인공해안선이다. 한마디로 바닷가에 나가면 대부분 콘크리트로 덮여 있다고 볼 수 있다.

마침 해양수산부에서는 올해부터 ‘블루카본 기반 기후변화 적응형 해안조성 기술개발’ 연구사업(R&D)을 통해서 자연해안선 복원을 위한 시동을 걸었다. 탄소흡수력 증진뿐만 아니라 기후변화에 취약한 해안선을 획기적으로 복원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둘째, 해양보호구역을 확대해야 한다.

2021년 11월 영국 글래스고에서 열린 기후변화협약당사국총회(COP26)의 주제는 해양과 육지를 비롯한 자연기반 해법을 찾는 것이었다. COP26에서 가장 많이 언급된 단어 중 하나가 30-30 목표이다. 이는 2030년까지 해양의 30%를 보호구역으로 지정하자는 것이다. 해양보호구역과 기후변화 대응 간의 관계를 잠시 살펴볼 필요가 있다. 현재 육상의 산림은 유지하는 것만으로도 탄소흡수원으로 인정받고 있으나, 그에 비해 해양 탄소흡수원인 블루카본은 추가적인 복원, 회복 등의 노력에 대해서만 흡수원으로 인정하고 있다. 해양보호구역이 언급되는 것은 향후 국제사회에서 해양보호구역으로 관리되는 지역에서 흡수되는 탄소에 대해서도 흡수원으로 인정할 가능성이 높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해양수산부에서는 지난해 1월 제5차 해양환경종합계획(2021~2030)을 통해서 2030년까지 2020년(영해 내측 면적의 9.2%)에 비해 해양보호구역을 20%까지 확대한다고 발표한 바 있으나, 국제적인 추세에 맞게 30%까지 확대가 필요한 시점이다.

셋째, 신규 해양탄소흡수원이 국제적으로 인정받기 위한 노력을 해야 한다.

탄소흡수원으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개념을 넘어서서 측정 가능한 수치가 제시되어야 한다. 일차적으로 신규 블루카본 자원(갯벌, 조하대 퇴적물, 패각, 해조류 등)의 탄소흡수 프로세스 및 흡수량 연구가 되어야 한다. 이를 바탕으로 국제사회에서 블루카본으로 인정받도록 해야 한다. 앞서 언급한 ‘블루카본 기반 기후변화 적응형 해안조성기술 개발’ 연구에 신규탄소흡수원 발굴 및 국제 인정이 포함되어 있다고 하니 기대해볼 만하다.

또한, 미래의 해양탄소흡수원 연구도 서둘러야 한다. 맹그로브는 블루카본 자원 중에서 가장 많은 탄소를 흡수하는 자원이다. 아직 우리나라에는 없지만, 2025년이면 맹그로브가 제주도에 상륙하여, 2040년이 되면 남해안 일대에 서식할 것이라는 예측 모델이 나왔다. 기후변화를 거스를 수 없다면, 맹그로브, 아열대 식물 등 필요한 자원 활용방안을 선제적으로 대응할 필요가 있겠다.

탄소흡수원 갯벌
탄소흡수원 갯벌

바다에 탄소흡수원 있다!

2022년 5월 새로운 정부 출범을 앞두고 있다. 혹자는 이전 정부에서 시행했던 정책을 뒤집을 것이라고 한다. 그 중 탄소중립 정책에도 변화가 있을 것으로 예상하는 사람도 많다. 그러나 탄소중립은 특정 정부만의 문제가 아니다. 전 세계에서 약 150개 국가에서 탄소중립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2020년 이산화탄소 배출량 순위에 부끄럽게도 우리나라가 9위로 기후악당이라는 불명예를 안고 있다. 이제 이산화탄소 배출을 줄이는 것뿐만 아니라, 적극적인 탄소흡수원 발굴이 필요하다. 바다가 그 답을 줄 수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