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혁신‘갑’이 아닌 ‘을’의자세로 임해야 성공할 수 있어
유통혁신‘갑’이 아닌 ‘을’의자세로 임해야 성공할 수 있어
  • 김성욱 본지 발행인
  • 승인 2013.04.05 10:3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자발적 의지가 창조 경제의 원천

박근혜정부가 출범한지도 벌써 한달이 지났다. 새정부 치고는 너무나 소란스럽고, 감동적이지 못하다는 비판의 소리가 여기 저기서 터져나온다.  가장 창조적이어야 할 정부가 퇴행적 관습과 정치?사회적 갈등에 발목이 잡혀 국민들 가슴에 희망과 기쁨을 심어주지 못했다는 비판에 대해  청와대는 물론이요, 여야를 망라한 모든 정치인들이 깊이 자성(自省)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정치의 근본은 국태민안(國泰民安)에 있다. 국민에게 행복을 주지 못하는 정부, 국민에게서 희망을 빼앗아가는 정치는 존립 가치가 없다. 국민이 정치판을 걱정하는 이 한심과 세태(世態)에서 한시 바삐 벗어나야 한다. 지금은 박근혜정부가 주창하고 있는 창조경제의 핵심적 가치에 대해 눈을 부릅뜨고 비판하고 논쟁하되, 국민의 힘을 한군데로 모아 나가야 할 시점이다.

우리 사회에 만연해 있는 배타적이고 독선적인 사고방식으로는 창조경제의 철학이 발붙일 틈이 없다. 창조란 무엇인가 ? 무(無)에서 유(有)를 만들어 나가는 것이 창조의 본질이다. 뿐만아니라 기존의 것에 새로운 가치를 덧 입히는 것 또한 창조의 범주에 속한다. 다시 말하자면 세상에 없는것을 만들어 내는것도 중요하지만 그에 못지 않게 개방적인 마인드와 융합과 통섭(通攝)의 과정을 거쳐 기존의 가치를 과감하게 수정해 나가는 것도 무엇보다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창조는 낙관적 사고를 가진 자에게서만 생겨나는 것은 아니다. 비관론자들도 창조적 가치를 얼마든지 생산해낼 수 있다. 그것이 바로 통섭(通攝)의 마인드에서 비롯된다고 생각한다. 언젠가 말했듯이 낙관론자가 비행기를 만들면 비관론자들은 낙하산을 만들어내는 선순환(善循環)구조가 우리사회에 뿌리 내릴 때, 창조경제가 성공할 수 있다는  사실을 마음 속 깊이 자각해주기 바란다. 비관(悲觀)이 비관으로 끝난다면 그 곳에는 창조적 가치가 깃들지를 못한다는 얘기다. 비행기가 추락할 것을 두려워하여 비행기를 타지 않는다면, 남이 100리를 날아갈 때 자신은 10리 길도 가지 못하는, 영원한  낙오자가 되고 만다는 사실을 깨달아야 한다.

박근혜대통령이 농수산부 업무보고를 받는 자리에서 ‘발전의지와 역량이 있는 농촌지역에 먼저 집중 지원하라’고 지시한 대목에 관심이 쏠린다. 농어촌을 관광과 접목하고 유통구조를 개선하도록 지원하는 것도 나눠주기식 지원보다는 발전 의지와 역량이 있는 지역과 주민들에게 먼저 집중적으로 지원을 해야 한다고 강조한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우리 농어민들도 개혁의지와 창조적 사고를 갖지 못하면 더 이상 발전할 수 없다는 사실을 우회적으로 강조한 것으로 받아들여야 할 것 같다.

새로운 가치를 창조해나갈 자발적 의지가 없이는 소득증대도, 농수산업의 발전도 이룩할 수 없다는 사실에 주목해야한다. 특히 수산업을 가공과 유통의 혁신을 통해 6차산업으로 발전시켜나가겠다는 박근혜정부의 확고한 정책을 심도 있게 받아들임으로써 새롭게 탄생한 해양수산부가 과거로 회귀하는 우(愚 )를 또다시 범하지 않도록 다함께 노력해야 할 것이다.

수산물 유통혁신, 수협혁신에 달렸다.

농수산물의 유통혁신 문제가 또다시 도마위에 올랐다. 박근혜정부는 수십년 동안 수산업 발전의 발목을 잡아왔던 6~7단계의 복잡다단한 유통구조를 개선하지 않고서는 어민 소득증대도, 물가안정도 가져올 수 없다는 사실을 통렬하게 지적하고 나섰다.

농축산부는 유통구조의 개선을 통해 농민은 5% 이상 많은 수익을 얻고 소비자 물가는 10% 이상 낮추겠다는, 이른바 ‘+5-10 다이어트’ 전략을 추진하겠다고 공표했다.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생산자 단체 중심으로 유통시스템을 대규모화하고, 계통출하등의 직거래 물량을 늘려나가겠다는 방침까지 밝혔다.

이러한 정책은 수산물 유통에도 그대로 적용될 전망이다. 수산물의 경우 지난 2011년 6월부터 수협 경제사업 활성화 방안의 일환으로 추진되었던 정책이 지난해 FPC(수산물산지거점유통센터)사업으로 구체화되면서 수산물 가격안정과 유통개선에 새로운 전기가 마련되고 있다.

현재 수산물의 유통구조를 보면, 생산자→산지위판장(중도매인)→도매시장(중도매인)→중간도매상→소매상→소비자에 이르는 6단계의 구조로 세분화되어 잇다.

어민이 채취한 수산물이 어민의 손을 떠나 소비자의 식탁에 오르기 까지 각 단계별로 유통비용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난다. 어떤 경우에는 산지 자격보다 최고 7~8배의 마진이 붙어 유통된다는 사실에 놀라지 않을 수가 없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수협의 계통조직을 통한 계통판매량이 늘어나고 있을 뿐만아니라 대형유통업체들의 직거래 물량이 늘어남으로써 유통단계가 점차 축소되고 중간유통마진도 줄어들고 있다는 점이다. 2009년도 통계를 기준으로 보면 수산물 소매물량 3조 8,000억원 가운데 대형유통업체가 50.8%인 1조 9,349억원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이들 대형유통업체들은 고등어, 오징어, 삼치, 갈치 등 대형선어는 산지 위판장을 통해 구매하지만  양식수산물과 냉동.가공품등은 산지 수집상과 직거래하는 물량이 대부분인 것으로 나타났다.

위 사실에서도 알 수 있듯이  생산자 단체인 수협의 역할이 주로 산지위판장 운영에 머물러 있는 데다, 중앙회마저도 바다마트를 중심으로 추진해온 경제사업이 미약한 상태에 놓여 있기 때문에 지금과 같은 유통구조 하에서는 어민소득 증대는 물론이고, 소비자 물가 안정에도 크게 기여할 수 없는 것으로 지적되어 왔다.
수산당국은 이러한 문제점에 착안하여 수협중심의 신유통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대책으로 미곡종합처리센터(RPC)와 유사한 개념의 수산물산지거점센터(FPC)를 육성하기로 한 것은  새로운 발상의 전환으로서 높이 평가받고 있다.

그러나 이 제도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몇가지 전제되어야 할 조건들이 있다. 그 첫째가 수협 자체의수집가능, 즉 매취사업을 확대하기 위한 재정적 뒷받침과 산지 중도매인보다 탁월한 능력을 갖춘 인적자원의 확충이 급선무로 떠오른다.

둘째로는 지금까지 위판실적이 극히 저조한 양식수산물과 0%에 가까운 수입산에 대한 비중을 확대하는 문제, 셋째로는 수협중앙회의 마켓팅 시설의 대규모화와 이마트같은 대형유통업체의 집하능력, 판매역량을 어떻게 갖추어 나가느냐  하는 문제가 중요한 큰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마지막으로, 반드시 명심해야 할 중요한 사항이 또 하나 있다. 그것이 바로 수협 스스로가 생산,가공,유통에 대한 창조적 마인드로 재무장해야 한다는 점이다. 자유경쟁에서 살아 남을 수 있는 경영기법과 개방적이면서도 융복합적인 지식으로 재무장하는 노력이 선행되지않는다면 수협중심의 유통혁신은 어쩌면 물거품이 되어버릴 수도 있다는 사실을 깊이 유념해야 할 것이다. 요즈음 유행처럼 번지고 있는 말처럼, 수협 스스로가  어민은 물론 유통.가공업자 그리고 소비자들에게 ‘갑’이 아니라‘을’의 지위로 스스로를 낮추는 자세가 수산물 유통혁신 성공의 요체임을 다시 한번 강조하지 않을 수가 없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