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어업협상 결렬로 갈 곳 잃은 고등어잡이 어선…대형선망선사 ‘도산 도미노’ 우려
한일어업협상 결렬로 갈 곳 잃은 고등어잡이 어선…대형선망선사 ‘도산 도미노’ 우려
  • 박종면 기자
  • 승인 2018.03.13 22:0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일본 EEZ 조업 불가…고등어·전갱이 등 어획고 급감
어장 축소와 고등어 어획량 감소 등으로 갈 곳을 잃은 대형선망업계가 어둠 속에 갇혀 있다. 사진은 특정기사와 관련 없음. ⓒ박종면

[현대해양 박종면 기자] 올 것이 왔다. 우려되던 선사 부도사태가 벌어졌다. 어장 축소와 고등어 어획량 감소 등으로 흔들리던 대형선망 선사가 결국 부도 처리되는 사태가 일어났다. 부산의 대형선망선사 A수산이 지난 5일자로 당좌거래가 중지됐다.

A선사는 자본금 20억에 선원 73명, 사무직원이 10명 등 직원만 80명이 넘는 중소기업이다. 1개 선단(6척의 배로 구성)으로 고등어, 전갱이 등을 주로 잡아 부산공동어시장에 상장하던 이 선사는 지난 2일 선박수리업체가 청구한 어음 5억 원을 막지 못해 부도 처리됐다. 그도 그럴 것이 이 선사 매출은 2016년 117억 7,000만 원에서 지난해 72억 원으로 뚝 떨어졌다. 사실상 1년 만에 매출이 반 토막이 난 것이다. 한일어업협상 결렬로 인한 어장축소와 고등어 어획량 감소로 인한 경영 압박이 주요인으로 알려졌다.

대형선망업계 관계자는 “우리나라에서 생산되는 고등어 중 약 90% 이상을 공급하고 있는 대형선망어업이 한일어업협상 결렬로 인한 고등어 어획 부진으로 심각한 경영난을 겪고 있다”고 전했다. 또한 대형선망 선사의 부도로 업계 전체가 충격에 빠져있다는 것.

대형선망 선사 부도는 금융위기와 고유가로 어려움을 겪었던 지난 2008년 이후 처음이다. 수산업 전문가들은 정부가 실질적인 지원책을 내놓지 않는다면 선사들의 줄도산으로 이어질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대형선망수협 자료에 따르면 정부의 바닷모래 채취와 중국의 불법조업 등의 영향으로 어획고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특히, 한일어업협상이 결렬됐던 지난해의 경우 지난 2012년 3,664억 7,100만 원이던 것이 2,099억 6,400만원까지 떨어져 역대 최저 어획고를 기록했다.

최근 7년간 대형선망어업의 생산량 추이. 자료=대형선망수협 제공

임준택 대형선망수협 조합장은 “한 마디로 갈 곳이 없다. 한일어업협상 결렬로 인해 근해·연안어선할 것 없이 모든 어선들이 제주도 주변만 돌며 연료만 소모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한숨을 내쉬었다.

업계에서는 남은 21개 대형선망선사(23개 선단) 중 3~4개 선사도 위험한 상황이라고 진단하고 있다. 또한 정부가 특단의 조치를 내놓지 않을 경우 도산 도미노에 처할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런 분위기 속에서 해양수산부가 최근 수산자원 보호를 위한 규제를 강화할 방침을 밝히고 있어 어업인들이 불만을 터트리고 있다. 수산자원 보호를 위한 규제란 포획 금지체장을 늘이고 휴어기를 연장하는 방안 등이다.

이에 대해 임준택 조합장은 “고등어 자원 관리 필요성에 대해서는 업계 모두가 공감하고 있지만 근본적인 원인은 한일어업협정 결렬에 따른 어장 축소에서 발생되는 부분”이라고 반박했다. 그는 이어 “일본 EEZ에서 조업이 가능할 때에는 이처럼 치어가 다량 어획되지 않았다”며 “정부의 협상 잘못을 어업인에게 전가하는 행위는 바람직하지 않다”고 꼬집었다.

고등어 금지체장 강화 등에 대해 해수부 관계자는 “간담회를 통해 장기적으로 가야할 방향을 설명한 것”이라며 “당장 시행하겠다는 것이 아니라 여건이 되면 어업인 의견을 수렴해 시행할 수도 있다는 것”이라고 해명했다.

한편, 동종업계의 부도사태를 지켜본 대형선망업계 관계자들은 “한일어업협정 결렬에 따른 수산업계의 피해를 하루 빨리 최소화 하고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피부에 와 닿을 수 있는 제도적 지원과 정책적 해결 방안이 있어야 한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