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안오염 총량관리’ 10주년 컨퍼런스 개최
‘연안오염 총량관리’ 10주년 컨퍼런스 개최
  • 백영대 기자
  • 승인 2015.12.15 11:5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연안오염 총량관리 시행 10년 성과 평가와 발전 방향 모색
마산만 수질 3등급→2등급, 시화호 등급 외→3등급, 올해 부산도 시행

▲ 이번 행사는 국내외 전문가와 지역사회 대표 및 시민단체 등 300여명이 참여해 10주년 기념식, 학술행사, 바다사랑 인형극, 현장답사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시화호를 다시 살아나게 한 연안오염 총량관리에 대해 되돌아보는 의미 있는 자리가 마련된다.

해양수산부(장관 김영석)는 16일부터 2일간 창원시에서 연안오염 총량관리 시행 10년을 맞아 그간의 성과를 평가하고 미래 발전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국제 컨퍼런스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국내외 전문가와 지역사회 대표 및 시민단체 등 300여명이 참여해 10주년 기념식, 학술행사, 바다사랑 인형극, 현장답사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연안오염 총량관리 제도는 바다로 배출되는 생활하수, 산업폐수 등 오염물질을 농도가 아닌 배출총량을 기준으로 통제하는 방식으로, 주로 폐쇄적인 만(灣) 구조를 가지며 배후지역이 고밀도로 이용되고 있는 연안해역 중 오염이 심한 해역을 대상으로 시행되는 제도이다.

해외의 경우, 1979년 일본, 1990년 미국) 등 주요 국가에서 시행되고 있으며, 우리나라는 2005년 마산만을 시작으로 2013년 시화호, 올해 10월부터 부산 수영만에 도입됐다.

이 제도가 시행(시행예정)되고 있는 국내 5개 특별관리해역(육상구역)은 국토면적의 1.26%(1,263㎢)에 불과하나, 전체인구의 16.1% (8.2백만 명)가 살고 있어, 인구밀도는 전국평균보다 9.25배 높은(4,568명/㎢) 지역이다.

특별관리해역은 오염이 심하거나 우려되는 해역으로 마산만, 시화호‧인천연안, 부산연안, 울산연안, 광양만이 지정돼 있다.

마산만은 1966년 봉암동 지역 습지와 해안을 매립해 국가산업단지와 아파트 등이 들어서기 시작했고, 여기서 배출되는 생활하수와 산업폐수 등으로 인해 오염이 시작됐다. 1975년 가포해수욕장이 폐쇄됐고, 1979년에는 어패류 채취가 금지됐으며 1981년에는 대규모 적조가 발생하면서 마산만은 ‘죽음의 바다’로 변해 버렸다.

오염된 마산만의 수질개선을 위해 2005년 연안오염 총량관리제도를 도입해 2008년부터 2014년까지 총 2,534억 원을 투입한 결과, 마산만 수질은 화학적산소요구량(COD) 기준, 공업용 냉각수 수준인 2.59mg/L(‘05)에서 1.7mg/L(’14)으로 개선됐다. 멸종위기 야생동물 2급인 붉은발 말똥게와 수달의 서식이 확인되는 등 생태계도 점차 회복되고 있으며, 2011년에는 봉암갯벌을 습지보호구역으로 지정해 보존하고 있다.

한편, 1994년 방조제 건설 후 ‘죽음의 호수‘로 불렸던 시화호는 2013년부터 연안오염 총량관리제도를 도입해 본격적인 시설투자를 통해 수질이 COD 기준 3.51mg/L(‘10)에서 2.99mg/L(’14)로 개선됐고, 금개구리, 맹꽁이 등이 서식하는 시화호 갈대습지공원은 연간 25만 명 이상이 찾는 생태관광의 명소로 변모했다.

올해 10월에는 해운대와 광안리 해수욕장이 위치한 부산 수영만 해역에 총량관리제가 도입됐다. 해양수산부와 부산광역시는 2019년까지 수영만으로 유입되는 일일 오염물질량(현재 20톤)의 25%(5톤)를 감축해 2034년까지 수질을 1등급(1.0mg/L) 수준으로 개선해 세계적인 청정 해수욕장을 조성하겠다는 야심찬 계획을 준비하고 있다.

이를 위해 수영만 해역의 8개 구‧군에 하수관거 정비(366.8km), 비점오염저감시설 설치(26,200㎥), 우수저류조 신설․개선(87,800㎥) 등에 2019년까지 5,819억 원을 투자 할 예정이다.

한편, 연안오염 총량관리 제도의 특징 중 하나로 5개 해역별로 구성된 민관산학 협의회가 있다. 민관산학 협의회는 정부, 지자체, 학계, 기업 및 시민단체가 참여해 목표수질 및 감축 목표량 설정, 오염저감 사업계획 등을 협의․조정하는 기구이다.

지역사회의 의견을 반영하고, 이해관계자간 갈등관리 및 시민들의 자발적 참여를 특징으로 하는 이 협치(協治) 메커니즘을 통해 정책의 성공확률을 높이고 있다고 전문가들은 평가하고 있다.

송상근 해양수산부 해양환경정책관은 “해양환경 개선정책은 지역사회의 참여가 성공의 관건이다”며, “앞으로 민관산학 협의회와의 정책소통을 강화하고, 이번 컨퍼런스를 계기로 연안오염총량관리 제도의 미흡한 부분을 보완해, 2017년 울산연안, 2019년에는 광양만으로 확대 시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