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참에 K-Seafood 인증체계 만들자
이참에 K-Seafood 인증체계 만들자
  • 송영택 발행인(수산해양정책학 박사)
  • 승인 2023.11.06 11:1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현대해양]일본의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로 인해 수산물 소비가 위축될 것이라는 당초 우려는 크게 작동하지는 않았습니다.

정부가 전국 주요 수산시장에서 수산물 소비촉진 행사를 여는 등 후쿠시마 오염수 대응 정책을 적극적으로 펼쳤고 전국 연안 지방자치단체에서도 발 빠르게 방사능 오염 측정 장비를 도입, 실시간으로 검사결과를 공개하기도 했습니다. 또 일부 수협에서는 자체 방사능 검사를 하는 등 수산계 전체가 팔을 걷어붙여 국민의 불안감을 조기에 진화하는데 노력한 결과라고 보여집니다.

하지만 후쿠시마 오염수는 이제 2차 방류가 완료된 시점으로 앞으로도 최소 30년 간 방류를 한다고 하니 인접국인 우리로서는 여간 신경이 쓰이지 않을 수가 없습니다.

일단 국민들이 수산물을 외면하는 것은 막았다고 하더라도 수산물의 안정성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도는 매우 높아졌습니다.

이번 일을 차치하더라도 수산물에 대해서 점점 높은 수준의 관리체계를 요구하는 추세이긴 합니다. 안전관리는 물론이고 친환경적 생산, 윤리적 생산, 탄소 감축 등 가치 중심의 소비가 중요해 지고 있고 이에 따른 수산물 품질관리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습니다. 이에 공신력을 갖춘 인증체계는 하나의 산업으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일찍이 WWF(세계자연기금)는 수산식품 유통업체 유니레버와 손을 잡고 MSC(Marine Stewardship Council)를, 네덜란드 지속가능 무역 이니셔티브와는 ASC(Aquaculture Stewardship Council)라는 인증프로그램을 만들어 전 세계로 수출하고 있습니다.

이뿐만 아니라 BAP(Best Aquaculture Practices), 할랄, 코셔(Kosher) 등 다양한 해외민간인증이 만들어져 국제시장에서 경쟁을 하고 있습니다. 가까운 일본도 해양에코라벨협회를 설립하여 MEL(Marine Ecolabel Japan) 등 자체 인증 프로그램을 개발·운영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수산물에 대한 인증은 농수산물품질관리법에 따라 체계적으로 관리되고 있긴 합니다. 국립수산물품질관리원에서 안정성 조사와 품질인증, 우수천일염인증, 친환경인증, 우수수산식품등인증 지리적 표시, 수산물이력제 등 다양한 인증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인증들이 모호하고 복잡하여 소비자들이 쉽게 인식하여 소비 진작으로 이어지지는데는 한계가 있어 보입니다.

수산물 안정성에 대해 국민의 관심이 고조된 이 시점에 한국형 수산물 인증체계를 정비해 보는 것이 필요해 보입니다. 또 탄소 중립 등 외부환경 변화에 따라 새로운 국제 표준이 등장하기도 해 이를 수용해낼 필요도 있어 보입니다(ISO22948(Carbon Footprint For Seafood)).

이것은 정부가 주도하는 것보다는 해외사례처럼 공신력을 갖춘 제3의 민간단체에서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해 보입니다.

이것은 수산물에 대한 국민들의 신뢰도도 높일 수 있으며 다양한 일자리 창출과 시스템 수출을 통한 K-Seafood의 명성을 높이는데도 도움이 될 것입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