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 대응, 지역 해양과학자와 지자체 협력 필수
기후변화 대응, 지역 해양과학자와 지자체 협력 필수
  • 박재형 국립부경대 해양학전공 조교수
  • 승인 2023.07.10 07:4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박재형 국립부경대 해양학전공 조교수

[현대해양] 지구 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가 이슈가 되며 해양과학이 전례 없는 관심을 받고 있다. 지구 표면 열의 90% 이상을 저장하는 해양이 기후 조절자로 알려지기 시작하며, 해양에서 나타나는 기후변화의 징조들(전 지구적 해수면 상승, 해양 고수온 현상, 뜨거워진 바다에 의해 강해지고 있는 태풍 등)에 대한 일반 대중들의 관심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자원이 풍부하지 않은 대한민국은 과학기술에 의존도가 높은 나라이다. 2021년 기준으로 GDP 대비 연구개발투자비율이 OECD 국가 중 가장 높은 것(출처: 국가지표체계)이 이를 증명한다. 정부에서 투자하는 해양과학에 대한 연구비 역시 많이 증가했다. 이렇게 국가에서 거액의 연구비를 투자하는 목적은 국민의 안녕과 발전일 것이다. 그렇다면 해양과학에 대한 국가적 지원은 실질적으로 국민의 삶에 어떻게 와닿을 수 있을까?

우리는 기후위기로 변화하는 머나먼 대양의 환경 못지않게, 동네 앞바다의 상태가 궁금하다. 즉, 국민이 맞닥뜨리는 지역 해양의 문제를 해양과학에서 직접 다루었을 때 실질적인 정책의 효과를 실감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지역 해양 환경 전문가(해양과학자)와 정책 및 행정 전문가(지방자체단체)의 협력이 매우 중요하다.

해양 선진국인 미국의 샌디에이고(San Diego)시에서는 지역에서 발생해 해양으로 유출되는 하수가 지역주민들의 삶과 인근 해역 환경에 장기적으로 일으키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했다. 그리고 이를 위해 샌디에이고에 있는 스크립스 해양연구소(Scripps Institute of Oceanography)의 과학자들과 2001년부터 협업을 진행했다. 시의 적극적인 지원으로 스크립스 해양연구소는 해양 환경 평가 및 장기 모니터링을 수행했고 이를 토대로 연구자들은 정책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활동은 지역주민들에게 시정 활동의 전문성과 해양과학의 실효성을 느끼게 해 더욱더 긴밀한 협업을 추구할 수 있는 발판이 된다. 이러한 선순환 구조는 앞으로 우리나라에서도 지역 해양과학자와 지자체 간 협업 모델로 삼을만한 예이다.

현재 정부는 제3차 국가기후변화적응대책(2021~2025년)을 이행 중이며 지난달 13일에는 이를 보완한 추가 대책을 발표했다. 범국가적인 계획을 수립하고 기후변화에 대처하려는 노력은 매우 고무적이다. 그러나 이런 노력이 결실을 보기 위해서는 단순히 계획을 하달하는 방식에서 벗어나 지자체와 지역 해양 전문가들로부터의 적극적 문제 제기가 필요하다. 각 지역은 기후변화로 영향을 받는 정도가 다르고, 기후변화 대응에 핵심적인 해양 환경 또한 다르기 때문이다. 지역주민들이 직면해있는 기후 및 해양 관련 문제의 실질적인 해결을 위해 지자체와 지역 해양과학자들의 협력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한 시점이다. 지자체의 지원이 과학적 성과로 이어지고, 이 성과가 다시 지역 사회의 문제 해결에 기여하는 선순환 구조가 만들어지기를 바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