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 동해안 연안침식 실태와 대응방안
강원도 동해안 연안침식 실태와 대응방안
  • 고석민 강원도환동해본부 해양항만과 과장
  • 승인 2023.04.10 18:3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연안정비·보전사업과 침식실태조사 지속적 시행
고석민 강원도환동해본부 해양항만과 과장
고석민 강원도환동해본부 해양항만과 과장

[현대해양] 강원도 동해안에서 발생하는 연안침식의 원인은 크게 자연적인(기후변화) 원인과 인위적인 원인으로 구분할 수 있다.

자연적인 원인으로는 지구온난화를 들 수 있다. 전 세계 평균 기온은 지난 100년간(1906년~2005년) 0.74℃ 상승 하였으며, 지구온난화의 영향으로 수온, 기압, 해빙, 엘리뇨, 라니냐 등의 전 지구적인 이상 해양현상의 변화가 육지 쪽으로의 해수 범람을 유발함으로써 침수 피해를 일으켰다. 중장기적인 해안침식에도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침식 가속화의 주요 요인이 되고 있다.

이와 관련, 국립해양조사원 자료(2021. 12. 20. 보도)에 의하면 동해안 평균 해수면 상승률 3.74mm/yr(30년 기준), 5.22mm/yr(최근 10년 기준, 2011년~2020년)로 해수면 상승이 빠른 가속화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최근 들어 3m 이상의 너울성 고파랑 및 태풍발생 빈도가 불규칙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2019년에는 총 343시간, 2020년에는 552시간으로 급격히 늘어난 것도 연안의 침식의 심각한 요인으로 볼 수 있다.

인위적인 원인으로는 지금까지는 해안도로 등 기반시설과 대규모 항만·어항개발 등으로 인한 침식이 대부분이었다. 현재는 화력발전소 부두건설과 해안가의 각종 관광 등 개발사업이 주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특히, 모래 언덕, 해안사구는 파랑 내습 시 내습되는 에너지를 줄여주는 완충제 역할과 평상시 모래를 공급하는 저장고 역할을 하고 있으나, 해안도로 건설·어항 개발·화력발전소 등 에너지 관련 개발 등으로 해안 사구를 크게 훼손하여 현재까지도 침식피해가 유지 및 가중되고 있는 실정이다.

강릉 정동진해변 침식피해
강릉 정동진해변 침식피해

주요 침식사례를 살펴보면 △동해 한섬 해변은 2003년 고파랑이 발생하여 철도사면에 피해가 발생하며 TTP로 보강했다. 한섬 해변은 과거에 해변이 넓었으나, 천곡항이 들어서고 동해항이 확장되면서 해변이 사라진 것으로 추정된다. △양양 인구항 확장공사로 인하여 차폐역이 발생함으로서 항내 매몰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남방사제 및 광진 해변 북측 돌제를 건설했다. 그 결과 영향으로 추정되는 남측 광진 해변이 크게 침식이 발생했다. △강릉 안인화력발전소 건설을 위한 방파제 건설에 따른 파랑에너지 불균형(계절적 연안표사 붕괴)으로 하시동 지역(해안사구)의 침식이 발생하고 있다. △강릉 정동진 해변은 계절적 변화가 심한 지역으로 침퇴적이 반복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지역이다 △삼척 월천해변은 한국가스공사의 호산 LNG기지 건설시 매립공사 등으로 인해 해변 침식이 발생했다.

최근 5년간(2015년~2020년) 축구장 면적 80개에 달하는 강원 동해안 백사장(57만㎡)이 바닷속으로 사라진 것만 봐도 침식피해의 심각성이 크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와 해양수산부는 해안침식으로부터 연안을 보호하고 훼손된 연안을 신속히 정비하여 효율적인 연안의 관리와 가치를 상승시키기 위해 연안정비(보전)사업과 연안침식실태조사를 지속적으로 시행하고 있다.

도에서는 2006년부터 해안침식 물리조사 기본계획수립과 동시에 부분적으로 연안침식조사를 시작했다. 2010년부터 현재까지 매년 도내 전 연안(41개 표사계, 102개 해변)의 해안선 변화 등에 대한 연안침식 실태조사를 시행하여 해변별 침식등급을 정하는 것은 물론, 장기간의 침식실태 관측 자료를 축적하여 침식의 원인 규명과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침식 저감대책을 수립했다. 아울러 연안정비사업의 기초자료 활용(침식방지 공법 등), 대학·기관·단체 등에 다양한 연구자료 등을 강원도환동해본부와 연안관리정보시스템 홈페이지 등으로 제공하고 있다.

또한, 강원도는 13년간 지속적인 연안침식실태조사를 시행하여 축적해온 자료를 데이터베이스화했다. 그동안 강원 동해안의 침식 이력(변화)을 분석하여 침식원인 규명과 향후 침식 변화를 예측하여 침식 해결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행정안전부 2023년 공공데이터 분석과제로 신청한 상태다.

도에서 시행한 2022년 연안침식실태조사 결과, 총 102개 중 53개소(51.9%) 해변이 우심 침식등급(C와 D)으로 조사되어 전국의 우심률 44.7%(총 360개소 중 161개소)보다 높은 침식비율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강원도 연안침식 실태조사는 해안선 조사만 계절별로 4회 시행되고 있다. 해안은 다양한 원인으로 변화가 발생하기에 정확한 실태조사를 위해서는 계절적 변화에 대한 관측이 필요하며, 추가적으로 고파랑 내습 시 지형변화가 크게 발생하고 있어 고파랑 내습 전후 조사도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동해안의 해안선 변화의 주요원인은 파랑과 해빈류에 의해 발생되며, 장기간의 파랑관측 자료는 침식원인 분석에 가장 중요한 관측 자료이나, 현재 장기파랑관측은 해양수산부에서 시행되고 있으며 고성, 삼척(맹방)에서만 운영 중이다. 따라서 나머지 구간의 파랑에 대한 장기관측이 절대적으로 필요함에 따라 강원 전체를 관측하기 위해서는 속초·양양 1개소, 강릉 1개소, 동해 1개소 등 추가 3개소 설치가 필요하다.

각종 연안 개발사업 추진 전 연안개발로 인한 침식발생에 대해 보고서에 언급할 필요가 있으며, 연안정비사업 추진 시 준공 후 시설물로 인한 2차 피해 영향에 대비하기 위해 표사계 전체 단위에 대한 침식방지 종합계획 수립이 필요하다.

국가 및 지자체의 연안정비사업 시행 후 해당 해변의 침식등급이 개선되는 등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일부 지역의 경우 수중 시설물로 인한 2차 침식 부작용이 발생함으로 따라 주변을 포함한 지역특성과 주민 의견수렴, 전문가 자문 등을 종합하여 △수중방파제(파랑 영향 감소) △돌제(표사 이동 억제) △호안(침식 직접 예방) △헤드랜드(사빈침식 방지) △양빈(해변복구) 등의 침식 공법을 선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강원도에서는 해양수산부 연안정비기본계획에 따라 심각하게 훼손된 연안침식 지역에 신속한 복구를 위해 연안보전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현재 제3차 연안정비기본계획(2020년~2029년 2020. 6. 3. 고시)에 따라 금년 현재 11개 지구가 추진 중에 있고, 나머지 27개 지구는 기본계획에 따라 순차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해양수산부에서 연안보전사업을 시행함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인 연안침식 심각지역에 대하여 ‘연안침식관리구역’ 법제화(2014. 8.)에 따른 기준을 마련하여 전국에 총 7개소를 연안침식관리구역으로 지정·관리하고 있다. 강원도는 총 3개소(2015년 삼척 맹방, 2016년 삼척 원평, 2021년 강릉 소돌)가 연안침식관리구역으로 지정되어 구역 내 인공시설물 금지, 연안보전사업 시행 등으로 엄격히 관리되고 있다.

아울러, 기존의 연안보전사업 시행으로 인한 2차 침식 등의 부작용을 예방하여 안전하고 쾌적한 연안의 이용을 위해 연안의 토지 및 건축물을 매입하여 연안완충구역을 조성하는 국민안심해안 시범사업에 도내 1개소(강릉 순긋 ~ 사근진 지구)가 선정되어 2023년부터 2027년까지 국비 154억 원을 포함한 총 사업비 220억 원으로 2만 9,000㎡의 연안 완충구역을 조성할 예정이다.

또한,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고파랑·태풍·지진 등으로 인한 연안침식 현상이 지속적으로 확대 및 가속화됨에 따라 침식 원인의 과학적·체계적 분석과 연안 방재연구 인프라 구축 필요성에 따라 해양수산부 직접 시행사업으로 국내 최고(대) 수준의 ‘연안·항만 방재연구센터’를 강릉시 옥계면에 건립이 확정되어, 금년에는 설계 및 인허가 절차를 완료하고, 2024년 상반기 경 착공 예정이다.

끝으로, 강원도를 비롯한 전국적으로 연안침식으로부터의 연안관리는 새 정부 국정과제(41번, 해양영토수호 및 지속가능한 해양관리)로 선정된 만큼 정부차원의 국내 최대 대규모 침식 발생 지역인 강원 동해안의 연안보전사업의 확대 시행 및 연안정비사업 시설물 사후관리 국고예산 지원과 수중시설물의 2차 침식 피해의 부작용을 예방하기 위한 ‘연안·항만 방재연구센터’의 조기 건립과 3차원 추가 조성, 국민안심해안 시범사업 확대 시행 등 연안침식 피해예방과 국토보전 차원에서 적극적인 국가 정책 추진이 필요하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