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가능 조선산업’ 위한 변화와 희망
‘지속가능 조선산업’ 위한 변화와 희망
  • 박준수 경남대학교 조선해양시스템공학과 교수
  • 승인 2023.03.10 1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박준수경남대학교 조선해양시스템공학과 교수
박준수경남대학교 조선해양시스템공학과 교수

[현대해양] 지구 표면의 80%를 덮고 있는 물 덕에 선박은 문명과 함께 발달했으며, 인간 이동과 물류 활동에서 필수적이었다. 2003년 ‘에너지 및 나노기술 콘퍼런스(Energy & NanoTechnolgy Conference)’에서 리처드 스몰리 교수가 발표한 ‘향후 50년 동안의 인류의 문제(Top ten problems of humanity for Next 50 years)’에서 언급된 열 가지 문제 중 에너지, 물, 식량, 환경 문제의 해결책은 바로 ‘바다(해양공간)’가 아닐까 싶다. 

우리나라의 지속 성장과 번영을 위해서는 삼면이 바다인(북한에 의해서 현실은 섬과 같다) 우리에게 해양공간의 활용은 필수 불가결할 것이다. 그렇기에 해양공간 활용과 연관된 전후방산업을 가진 우리는 조선산업의 어제와 오늘을 살펴보고 내일을 통찰할 필요가 있다.

한국전쟁 이후 1960년, 우리는 조선공업진흥법, 기계공업진흥법, 조선공업장려책 등 국가 차원의 조선산업 발전정책에 의해 조선산업의 자주적 기반을 조성할 수 있었다. 이후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은 ‘조선’을 핵심적 육성 대상 산업으로 선정했으며, 1970년대 장기조선공업진흥계획과 1980년대 중화학공업 육성정책으로 현대중공업, 삼성중공업, 대우중공업 등 대형조선소가 확충됐다. 1990년대에는 세계 조선시황이 회복되며 우리나라 조선산업도 국제 경쟁력을 갖추고 성장했다. 30년이라는 길지 않은 기간 동안 척박한 산업토양에서 전무후무한 기적에 가까운 성과를 달성할 수 있었던 주요인은 양질의 교육을 받은 청장년(근면·성실, 근성 등을 구비)의 우수한 노동력과 그 지역특성이었다. 그 결과 현재의 ‘조선문화’가 정착했다. 아울러 아쉽지만, 대·중·소형 조선소와 조선기자재업체를 동반 성장시키는 정책보다는 대형 조선소 중심의 육성정책에 의해 우리 ‘조선문명’은 불균형적인 생태계를 형성한 채 정착했다. 이러한 문화와 문명을 시대에 맞추어 변화시키고, 불균형적인 부분을 개선·발전시키는 것이 지속적인 조선산업을 우리가 영위하기 위한 필수 요건일 것이다.

그러나 인구감소에 의한 지방소멸시대를 맞이해 우리 조선산업의 문화와 문명을 소실할 위기에 직면해 있다. 선박시장의 초호황기, ‘탄소중립’ 및 ‘자율운항’이라는 패러다임 상황에서 대한민국이 조선산업에서 글로벌 선두 주자가 되려면 우리는 끊임없는 변화를 해야 할 것이다. 

첫째, 조선산업정책을 하향식(top down)보다는 상향식(bottom up)으로 지역기업-지역대학-지자체에 의한 ‘지역정책’을 수립하고, ‘대·중형 조선소와 조선기자재업체’, ‘소형 조선소와 조선기자재업체’로 나눠 생태계 조성에 의한 유지와 운영관리가 필요하다. 둘째, 글로벌 정보에 의한 시장의 변화를 주도하는 정책·교육을 입안·시행할 수 있는 ‘지역형 관제아카데미’를 설치해 남녀노소에게 해양의 올바른 인식이 가능하게 하는 평생교육 및 우리 조선기술의 ‘성문화’을 추천한다. 셋째, 제조업을 기피하는 ‘청년’을 위해 지방에 정주할 수 있는 특화교육과 고용 우선(우대), 그리고 고임금 정책이 필요하다. 즉, 우리 인재에 의한 지방에 자리 잡은 조선소와 지역의 영위이다. 

이를 통해 우리의, 우리에 의한, 우리를 위한 조선문화와 조선문명으로 거듭나길 희망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