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O 온실가스 규제대응, 해운기업 ESG경영의 핵심과제
IMO 온실가스 규제대응, 해운기업 ESG경영의 핵심과제
  • 박한선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해사산업연구실장
  • 승인 2022.05.06 08:1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현대해양] 최근 해운업계의 화두는 단연 ESG경영이다. 그러나 몇몇 선도적인 대기업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해운 기업의 ESG경영에 대한 관심과 준비가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ESG경영의 환경(Environment)에 관한 IMO의 시간표

IMO에서 지금까지 추진해 온 다양한 선박 온실가스 감축 규제는 대부분 해운기업의 부담이 된 것도 사실이지만 친환경선박을 기반으로 해운기업의 경쟁력이 된 것도 사실이다. 지금 IMO의 시간표는 2008년 대비 2030년 40% 온실가스 감축목표와 2050년 50% 감축목표를 수립하고 엄청난 속도로 달려가고 있다. 심지어 2040년도 목표를 설정하자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으며 유럽 대부분 국가가 2040년 탄소중립을 선언한 것을 고려하면 어떠한 상황일지라도 해운산업에도 적어도 2040년에 중간평가는 반드시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지금까지는 IMO가 선박 자체에 대한 에너지효율설계지수(EEDI)를 선박이 건조될 때 적용하는 규정을 2013년부터 시행해왔고 그 이후에 현존선박에 대한 에너지효율설계지수(EEXI), 에너지효율관리계획서(SEEMP)를 고도화했으며 최근 탄소밀도지수(CII)를 채택하여 시행을 앞두고 있다. 탄소밀도지수(CII)는 IMO의 시간표에 따르면 에너지효율설계지수(EEXI)와 같이 단기 조치이다.

또한, 2030년까지 이 CII 인덱스를 만족하지 못하는 선박이 C등급 이하를 받고도 개선하지 못하는 경우 퇴출이라는 심각한 상황을 맞이할 수 있다.

 

무탄소 연료를 위한 IMO의 움직임

현존하는 에너지효율 감축 조치 기술로는 에너지효율설계지수(EEDI)의 3단계(30% 감축)도 쉽지 않을 것이며, 2030년까지 40%를 달성하기는 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이에 2030년 40%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시장기반조치가 언급되고 있는 것이다. 시장기반조치(MBM:market based measures)는 경제적 인센티브 또는 페널티를 활용해 효과적으로 온실가스 배출을 감축하고자 하는 정책적 조치이다. 그러나 MBM은 실질적인 온실가스 감축에 기여하기 보다는 이익에 집중하며, 온실가스 감축 취지를 훼손할 수 있다는 한계가 존재한다. 결국은 저탄소에서 무탄소로의 에너지 전환이 필요하다는 것.

IMO는 무탄소 연료 개발을 위한 다양한 논의를 이어오고 있다. 특히 개발된 대체연료에 대한 안전성 평가나 사용 가능성 등을 포함, 전체적인 해상연료에 대한 전과정을 평가하려는 것이다. 해상연료유의 경우, 선박에서 사용되는 것을 포함 연료가 생산되고 운송되고 사용되는 전과정을 관리하겠다는 의지로 볼 수 있다.

 

해운기업 ESG 경영은 왜 필요한가

그렇다면 해운기업이 환경부분을 넘어 ESG경영을 해야 하는 이유는 뭘까.

사회(Social)는 경쟁 보호, 소비자 보호, 안전, 근로자, 인권, 정보 보호 등 사회적 가치를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공정하고 합리적인 토대 위에 서야 한다. 이를 위해 내부적으로는 사회적 가치를 추구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며, 외부적으로는 정부정책과 국제사회를 위한 협력도 필요하다. 정부정책이나 불공정한 정치적 개입에 따라 기업이나 미래 국가의 발전을 저해하는 일에 대해서는 투명하고 합리적인 소견을 제시할 수 있는 사회적 시스템을 갖추는 것도 중요하다.

따라서 해운기업의 ESG경영에서 사회(Social) 또한 무엇보다도 중요하며, 지배구조(Governance)를 고려한 투명성의 확보를 기반으로 글로벌 경쟁력을 높여가는 노력도 기울여야 할 것이다.

 

메탄올·암모니아 선박 도입 필요

지금 시점에서 모든 해운기업은 현재 보유하고 있는 선박에 대한 탄소밀도지수(CII)를 적용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자신의 선대가 어떤 상황인지, 또 선박이 어떤 등급에 해당되는지 면밀히 점검하고 대처방안 마련을 위한 조치를 마련하여야 한다.

대기업의 경우 인력이나 비용의 측면에서 이미 파악하고 있고 준비를 하고 있을 것으로 판단되지만, 중소기업이나 영세한 해운기업의 경우 정부나 한국선급(KR)과 같은 기술단체에 협조를 구하여 진단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진단 결과를 바탕으로 선박의 발주, 개조, 폐선의 시기와 투자가 결정될 것으로 판단된다. 이는 대기업 중심의 경쟁력을 가진 해운기업으로 구조조정이 되는 불가피한 상황이 전개될 수 있는 심각한 상황이라고 판단되며, 정부는 이에 대한 대책을 마련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또한 미래 무탄소 연료로의 전환에 있어서 안일하게 관망하는 자세에서 벗어나 새로운 선도적이고 도전적인 선도자(First Mover)로 전환하는 도전이 필요한 시점이다. 인프라 구축과 공급이 원활할 때까지 기다려서는 기회가 없을 수 있다. 대기업을 중심으로 우선 메탄올 선박이나 암모니아 선박 등을 과감하게 도입할 필요가 있다. 그러면 정부정책과 인프라 구축을 이끄는 효과가 나타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현재의 상황에서 해운기업은 암모니아, 수소, 메탄올 등 무탄소 연료의 개발과 실질적인 공급 인프라가 갖추어지기를 마냥 기다릴 수 없다는 것이다. 준비하는 동안에도 IMO의 시간표는 지나가고 있다. 또한 ESG경영에 따른 금융권의 움직임을 주시할 필요가 있다. 환경문제에 대한 경영조치가 이루어져야 금융이 이루어진다는 것을 잊어선 안 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