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로 보는 해양수산 50년
기사로 보는 해양수산 50년
  • 현대해양 기자
  • 승인 2021.10.19 09:1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1971년 10월호

해양개발연구소 이영길 연구위원이 수산청장의 수협 진단결과 발표에 붙여서 수협중앙회 개편의 문제점과 그에 따른 의견을 개진했다.

민성규 해양대학 조교수가 ‘해기원 국가시험 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대해 정리 제시했다.

특집좌담회를 9월 29일 뉴코리아호텔에서 수산과 해운으로 나눠서 진행했다. 수산은 ‘연근해어업의 활로를 위한 문제점을 엮다’라는 제목으로 국회의원과 업계대표 13명이 참석, 진행했으며 해운은 ‘한일 해운협정 체결과 5천 만 달러 차관 도입문제로 투영된 오늘의 해운계’라는 제목으로 국회의원과 업계대표 6명이 참석, 진행했다.

김 수출판매 개선에 대한 의견을 모아봤다. 한중건 농림전문위원은 국제입찰제로 판매할 것을 주장하였고 생산자 김윤방 씨는 새로운 협동체의 구성을 제안했다.

미국의 수질법 개선의 연혁과 내용을 소개했다. ‘바닷물 속의 비타민류’, ‘방어의 양식’이라는 제목의 해외 연구자료를 확보 안내했다.

김덕엽 수협회장 첫 기자회견 내용을 정리했다. 김 회장은 어민소득 증대에 신앙화로 새 수협의 출발을 다짐하겠다고 했다. 경진 푸로펠러 공업사 정진석 사장을 소개했다.

 

 

1981년 10월호

‘외식산업에 눈을 돌리자’라는 제목의 권두언을 실었다.

제 108회 정기국회에 즈음하여 ‘오늘의 기류로 식량자급과 국방은 민족생존을 위한 동위의 조치임을 자각하자’라는 제목의 기사를 실었다.

국회 농수산위원회 이범준 위원장을 인터뷰했다. 이 위원장은 ‘어민에게 인간다운 생활을 활 권리를 보장해 주고 재해로부터 보호하는 것이 식량자급의 지름길’이라고 했다.

‘연제품 가공기술과 소비, 어디까지왔나?’라는 제목의 특집을 마련했다. 현붕개 수산청 제조과장의 ‘수산물 소비에 연제품이 차지하는 위치와 금후 전망’, 박영호 부산수대 교수의 ‘수산연제품 원로로서의 적색육 어류의 이용과 그 가공적성’이라는 기고글을 각각 게재했고 박주현 유화식품공업 사장과 정장윤 도봉종합식품 시장이 참석한 가운데 ‘어육 연제품의 생산과 유통현황을 묻는다’라는 제목의 특집대담을 진행했다.

오늘의 수산인으로 소신과 탁월한 경영철학을 지닌 남양냉동식품(주) 김륜하 사장을 소개했다. 김 사장은 ‘기업 성패는 노사협력에 달려있다’라고 했다.

변창명 원양어업협회 국제협력1부장의 ‘새 해양법 시대와 한국원양어업’이라는 특별기고를 게재했다.

 

 

1991년 10월호

성인병 예방에 특효인 멸치를 홍보하고자 ‘의학박사의 마른멸치 식도락’이란 제목의 권두언을 실었다.

시론에서 김훈철 한국기계연구소장이 적극적이고 종합적인 해양개발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허재홍 국회 농수산위원회 민자당 간사를 인터뷰했다. 허 위원은 수산전문 국회의원으로 힘껏 노력해 왔다고 답했다.

허형택 해양연구소 연구위원은 양식산업 육성을 위해서는 양식연구소의 설립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화제의 얼굴로 ‘물고기를 먹으면 머리가 좋아진다’의 저자 스즈끼 히라미스(鈴木平光) 박사를 소개했다.

1992년 7월부터 시행될 북태평양 오징어유자망어업 전면 조업금지조치로 국내 유자망어선 142척이 어장을 잃게될 것에 대해 정부는 시급히 대책을 마련해야 된다고 촉구했다.

‘수산물 유통개선 어디까지 왔나’라는 제목의 특집을 마련했다. 유충열 부산수대 교수의 도·소매 분리양론, 박성쾌 농촌경제연구원 수산경제 실장의 ‘수산물의 유통체계 개선방안’, 김용웅 수협중앙회 유통사업과장의 ‘수산물 유통의 개선방안’, 르뽀라이터 유정규 씨의 ‘수산물 가공품의 생산 및 유통(시장)실태와 문제점’이라는 글을 게재했다.

 

 

2001년 10월호

서남구기저수협과 보령수협을 탐방했다. 박청 서남구기저수협 조합장은 새 대출자금 확보, 수익사업 발굴에 주력하고 있다고 했다. 김성원 보령수협 조합장은 위판 적극 유치 등 조합의 건전성 마련과 매취 사업 등 어업인 수취가격 보장에 안간힘을 쓰고 있다고 했다.

생활하수, 산업장 폐수로 바다 밑 폐기물이 겹겹이 쌓여가고 있다는 기사를 게재하며 바다가 오염으로 아픔을 호소하고 있다고 긴급진단했다. 김학균 수산진흥원 어장환경부장은 퇴적물 준설·새 이용행위 규제 등 연안역 관리가 시급하다고 했다.

박정흠 수산진흥원 위생가공연구실장은 수산물은 콜레라 원인 식품이 아니라 콜레라는 물을 매개한 수인성 전염병이라고 했다.

차석홍 수협중앙회장을 인터뷰했다. 차 회장은 어업인 복지 향상에 주력할 ‘신 수협운동’을 펼치겠다고 제창했고 각 독립 사업의 힘을 한 데 모아 수협사업으로 승화시키겠다고 했다.

제225회 정기국회 해양수산부 국정감사 발언록을 정리했다. 이번 국감에서는 한·일 꽁치조업 분쟁과 대규모 적조 피해 등이 집중 거론되었으며 연안어업허가를 지자체가 남발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2011년 10월호

강정극 한국해양연구원 원장은 해양재해, 사전 예방이 답이다라고 강조했다.

신진호 울산수협조합장과 조한중 충남도 수산연구소 소장을 조명했다. 신 조합장은 1어촌 1특화사업 발굴로 어민소득 증대에 앞장서겠다고 했고 조 소장은 서해 고부가가치 특산어종인 황복의 자원회복에 박차를 가하겠다고 했다.

특집으로 연근해 양식의 현재와 미래를 진단했다. 박명애 수산과학원 병리연구과장의 ‘수산동물 질병 발생 동향과 대처방안’, 배승철 부경대 해양바이오신소재학과 교수가 ‘배합사료 사용 활성화를 위한 방안’, 박희라 식약청 식품위해평가부 연구관이 ‘항생제와 관련한 수산식품의 안전성’, 박병호 남해군 해양수산과 해양보전팀원이 ‘연안 양식장 실태와 어장 환경보전을 위한 방안’, 손맹현 수산과학원 양식관리과장의 ‘양식 시스템 자동화 개발 현황 및 추진계획’을 각각 게재했다.

커버스토리로 허남식 부산광역시장을 조명했다. 허 시장은 해양수도 부산을 21세기 대한민국을 먹여살릴 신성장 동력산업의 젖줄로 키우겠다고 했다.

모범조합으로 후포수협을 탐방했다. 임추성 조합장은 고객을 섬기는 협동조합 직원상을 정립하겠다고 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