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레저관광사업, 팬데믹에도 순항 중?
해양레저관광사업, 팬데믹에도 순항 중?
  • 김엘진 기자
  • 승인 2021.03.11 08:5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련법 제정 추진과 해양치유로 활성화

[현대해양] 해양수산부는 2019년 5월 ‘해양레저관광 활성화 대책’을 발표했다. 이 대책은 2017년 기준 580만 명인 해양레저관광객과 659만 명인 섬관광 방문객을 2023년까지 1,000만 명으로 늘리고, 해양관광분야에서 3,000개의 신규 일자리를 창출하겠다는 목표를 내세웠다. 그러나 계획 발표 몇 달뒤 코로나19가 전세계를 강타했다. 현재 해양레저관광사업은 어떻게 진행되고 있을까.

각 지자체 해양레저관광사업에 열중

2021년이 시작되며 많은 지자체에서 해양레저관광사업을 추진한다는 소식이 쏟아졌다.

가장 최근 소식은 부산시다. 지난달 19일 부산시는 ‘2021년 부산 해양레저관광진흥 시행계획’과 함께 동북아 해양레저관광 중심도시 부산을 구현하겠다고 발표했다. 부산시는 해양레저관광 인프라 조성, 해양레저관광 산업 육성, 사계절 해양레저관광 체험도시 조성 등을 약 193억 원을 들여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제주특별자치도는 지난 1월 해양관광 거점으로 ‘신창 공공마리나 시설’을 본격 개발하겠다고 밝혔다. 신창 공공마리나 사업은 지난해 5월 해수부 ‘제2차 마리나항만 기본계획(2020∼2029)’에 반영됐다. 오는 9월 착공해 내년 12월까지 완료하는 것이 목표다.

경남 사천시는 사천바다케이블카 개통 3주년인 오는 4월에 맞춰 ‘사천 아라마루 아쿠아리움’을 개장할 예정이다. 7790㎡의 부지에 수조 4,000톤 규모로 들어서며, 총 사업비는 181억 원 규모다. ‘관상어 종자 육성 센터’도 건립된다. 총 45억 원을 들여 오는 12월까지 완공할 예정. 사천 실안지역에 ‘사천지구 해양생태 체험교육 센터’ 조성도 추진하고 있다. 총 210억 원의 사업비 규모로 2022년 착공 2025년 완공이 목표다.

지난해 12월 전북 군산 새만금의 새만금개발청과 대한요트협회 등이 업무협약을 체결하며 해양관광 활성화를 이루겠다고 발표했다. 2024년까지 1조 3,000억 원을 투자해 스마트 수변도시를 조성하고, 주변지역으로 항로를 확장하는 등 새만금을 해양레저관광 거점으로 육성한다는 계획이다.

같은 달 경북도는 ‘해양레저관광 활성화’를 위해 2021년 예산 320억 원을 투입한다고 밝혔다. 지난 1월 해양레저관광과를 신설한 경북도는 중장기 발전전략을 위해 연구용역을 사용하는 등 해양레저관광사업에 열정을 쏟고 있다.

지자체들의 적극적인 해양레저관광사업 조성에 대해 김귀백 영산대학교 해양레저관광학과장은 “정부와 지자체가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규제완화 및 지원·개발에 힘을 쏟고 있다”며 “다만 레저스포츠 및 레저관광 수요자를 위한 산업들이 늘어나는 만큼 사고 위험도 높아질 수 있기에 이에 대한 대비책 마련도 잊어서는 안 된다”고 당부했다.

 

해양관광 관련 법률 제정 추진

지난달 21일 더불어민주당 주철현 의원(전남 여수갑)이 해양수산부에 “해양관광 육성과 활성화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최근 해수부 업무보고에서 정부의 해양관광분야 사업이 해양레저관광과에서만 추진되고 관련 법률이 없어 지지부진하다”고 지적했다.

한국통계진흥원이 지난해 5월 발표한 ‘한국 해양관광 통계기반 구축을 위한 용역 결과’에 따르면 해양관광 경험률은 2015년 80.0%, 2016년 82.7%, 2017년 86.0%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또한 마리나업, 수중레저업, 수상레저업 등 주요 해양레저 관광 서비스 사업체별 매출액도 연평균 15.9~42.6%의 성장률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지난 2014년부터 2020년까지 16조 원 규모로 5,000여 개의 사업에 투자된 문화체육관광부의 관광진흥개발기금 중 해양관광 사업은 전체 사업의 2.6%인 143개 사업, 약 700억 원(0.4%)에 불과했다. 특히 2013년부터 2020년까지 8조 원 규모, 7,700건의 관광기금 융자지원사업 중 해양관광 분야는 단 11건, 다시 말해 전체의 0.14%로 27억 2,000만 원(0.034%)에 불과했다. 해양관광시장은 계속 확대되고 있지만, 정부의 관광정책 예산은 해양관광 분야의 몫이 되지 못하고 있다는 의미다.

주 의원은 “해양관광 사업이 단순 편의시설, 특정 인프라 조성에 집중되고 있다. 정부 차원에서 해양관광 활성화제도 마련과 해양관광 전담 조직 신설·확대, 통합적 지원관리, 맞춤형 상품개발 등을 조속히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김귀백 학과장은 “주 의원의 의견에는 동의하나, 이 법률로 인해 오히려 해양레저관광 활성화에 발목이 잡히지 않도록 전문가와의 충분한 의견 조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해양신산업으로 기대되는 해양레저관광사업을 추진하는 체계적·전문적인 기관과 실무 맞춤형 인재 양성소가 필수적이다”라고 덧붙였다.

전준철 해수부 해양레저관광과장은 “체계적 관리가 필요하다는 부분에 공감한다. 우리도 해양관광진흥법이나 기본법 제정을 위해 준비중이다”라고 밝혔다. 그는 “‘해양레저관광 활성화 대책’도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며 “해양레저관광 분야에서의 일자리는 아직 3,000개에 미치지 못하지만 인프라를 조성하고 그 과정에서 창출된 일자리는 목표치를 넘어섰다”고 밝혔다. 코로나 대응 부분에 있어서도 “당장은 침체된 상황이라 볼 수밖에 없지만 더 멀리 뛰기 위해 준비하는 단계며, 사람들이 더욱 자연을 찾고 있으니 올해의 수요가 더 늘 것으로 기대한다. 특히 개별화·안전·보건 등이 올해의 트렌드인만큼 해양치유프로그램 등에 대한 기대도 크다”고 전했다.

‘해양치유’는 최근 우리나라의 급속한 고령화와 코로나로 인한 건강에 대한 관심으로 인해 가장 떠오르고 있는 해양레저관광사업 중 하나. 갯벌·염지하수·해양생물과 같은 해양자원을 활용해 신체적·정신적 건강을 증진하는 활동이다. 독일·프랑스·일본 등 일부 국가에서는 이미 해양치유산업이 활성화됐는데, 독일의 경우 해양치유를 포함한 치유산업 시장규모가 약 45조 원에 이르며, 약 45만 개의 관련 일자리를 창출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는 삼면에 청정한 갯벌과 심층수나 해조류 등 해양치유자원이 풍부하다.

전준철 과장은 “얼마전 코로나19 관련 노고가 있는 분 대상으로 해양치유 프로그램을 시범운영한 바 있고, 지금도 지자체와 협력해 프로그램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