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대해양] 경기평택항만공사를 포함한 7개 기관이 평택·당진항 액체부두의 안정적 운영을 위해 손을 맞잡았다. 경기평택항만공사, 평택지방해양수산청, 한국가스공사, 한국석유공사, 한국서부발전㈜, SK가스㈜, 대아탱크터미널㈜은 지난달 28일 평택·당진항 액체부두 6개 선석의 인접 해역 수심 확보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평택·당진항은 지형적 특성, 조위 차, 장마철 남양만 모래 유입 등으로 인해 지속적인 퇴적이 발생해왔다. 이는 액체부두와 항로의 수심 유지와 선박의 안전운항에 큰 장애물이 돼왔다. 이번 협약을 통해 각 기관은 효율적 수심 관리, 퇴적 원인 분석, 준설 비용 공동 분담 및 준설 시기 조율 등 통합적 관리 방안을 추진하기로 했다.
변혜중 평택지방해양수산청장은 “이번 준설협의체가 평택·당진항 액체부두 안전성을 높이는 모범 사례가 되길 기대하며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다"고 밝혔다.
협약에 따라 각 기관은 민관 협의체를 구성해 수심 관리 및 준설 작업을 투명하고 공정하게 운영한다. 이를 통해 책임성과 자원 활용의 효율성을 높이는 것은 물론, 액체부두 수심 문제라는 평택항의 고질적 과제를 해결하는 데 중요한 발판을 마련할 것으로 보인다.
김석구 경기평택항만공사 사장은 “효율적 수심 관리와 안전성 확보를 통해 평택·당진항의 경쟁력이 크게 향상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이번 협약이 평택항의 더 나은 발전과 성장 기회를 열어줄 것”이라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