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수부 장관, 스토리가 있는 사람이 중용되길...

2019-01-28     송영택 발행인(수산해양정책학 박사)

[현대해양] 정부개각이 2월 하순에 단행될 것으로 알려지고 있는 가운데 김영춘 해양수산부 장관도 내년 총선을 대비해 물러나는 것이 확실시됨에 따라 후임 장관 인선에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문재인 정부 초대 내각에 정치인 출신들이 대거 입성해서 그런지 공무원 출신들을 입각시킬 것이라는 보도가 나돌고 있지만 차관 인사를 끝 낸지 얼마 되지 않아 공무원 출신을 발탁하는 데는 한계가 있지 않겠냐는 시각도 있습니다.

김영춘 장관은 해양수산부가 생긴 이래 최장수 장관으로 세월호 사태로 어수선하던 부처 분위기를 다잡았으며 한국해양진흥공사를 발족시키며 해운산업 재건 프로그램을 가동시켰습니다. 또 어촌의 획기적인 변화가 기대되는 어촌뉴딜300 사업을 구상하고, 거액의 예산까지 확보하며 역대 어느 장관보다 큰 성과를 내었다는 평을 받고 있습니다. 이에 해양수산부 출범이후 처음으로 지난해 정부기관평가에서 ‘우수’를 받아 조직의 위상과 직원들의 사기도 한껏 고조시켰습니다.

다음 장관은 전 장관이 펼쳐놓은 여러 일들을 정리하고 관리해 나가야 하는 숙제를 안게 되었습니다.

현재 후보군으로 여느 때와 마찬가지로 정치인과 관료들이 주로 거론되고 있으며, 전·현직 대학교수들도 물망에 오르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제는 좀 새로운 시각에서 해양수산부 장관직을 바라봤으면 좋겠습니다.

그동안 해양수산부 장관은 총 20명이 배출되었습니다. 그중 정치인 출신이 10명이었고, 관료출신이 8명 이었습니다(이중 해운항만청 출신은 5명), 연구기관 출신이 2명이었고 대학교수 출신은 1명이었으나 정치적 배려로 발탁된 인물이었습니다.

해양수산부 장관 인선 패턴을 보면 해양수산부를 바라보는 정치권의 시각을 읽을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역대 정권은 해양수산부를 정치적 산물로 인식하고 장관직을 정치인의 경력관리나 지역안배, 기술 관료의 등용 차원에서 운용하였습니다.

그래서 바다에 대한 깊은 애정과 철학을 가진 인물은 아직까진 발탁되지 못하고 있습니다.

과거 김대중 정부 때 원양어선 선장출신이면서 기업인으로 성공한 동원산업 김재철 회장이 후보로 거론된 적이 있었습니다만(후일 한국무역협회 회장 역임) 끝내 입성하진 못하였습니다.

문재인 정부는 시민이 힘을 합친 촛불혁명으로 만들어졌기에 국민이 주인인 정부를 표방하고 있습니다. 해양수산계도 관행의 틀을 벗어나 켜켜이 쌓여있는 일상의 문제들을 세심히 해결해 민의를 반영해야하는 숙제를 안고 있습니다.

해양수산 현장의 목소리를 담아내어 국가행정에 접목시킬 수 있는 혜안을 가진 인사가 발탁되어야하는 시점에 와 있는 것입니다.

바다에 대한 진정한 스토리를 가진 해양수산인에게 해양수산의 담대한 전진을 맡겨볼 때가 되었다고 보여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