낚시산업 해외시장확대 위해 정부지원 절실하다
낚시산업 해외시장확대 위해 정부지원 절실하다
  • 정연화 (사)한국낚시협회 회장
  • 승인 2018.05.02 12:4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정연화 (사)한국낚시협회 회장

▲ 정연화 (사)한국낚시협회 회장

[현대해양] 최근 채널A ‘도시어부’, EBS ‘성난 물고기’ 등 전문적인 낚시 프로그램이 TV에서 방영되고, 각종 예능 프로그램에서도 낚시를 소재로 다루는 일이 잦아지면서, 낚시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그 어느 때보다 높아지고 있다. 지난 3월 9일 부터 11일까지 경기도 고양시 KINTEX에서 개최된 ‘제22회 한국국제낚시박람회’ 관람객이 지난해보다 13%나 증가한 것도 이런 사회적 분위기 때문이라고 본다. 

이처럼 낚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낚시를 배우려는 사람이 많아지는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 낚시인 이 늘면 우리나라 낚시산업이 지금보다 더욱 활성화 될 것 이기 때문에, 낚시업계에서는 최근의 추세를 대체로 환영 하는 분위기다. 

 

낚시산업의 현실 

우리나라 낚시산업은 한 때 세계 낚시시장을 석권했던 적이 있다. 특히 낚싯대의 경우 20여년 전 까지만 해도 우리나라 10대 수출상품에 속했다. 그러나 인건비 상승 등으로 인해 수출 경쟁력이 약화되던 시기에 IMF의 여파까지 겹치는 바람에 국내 낚싯대 제조업체 상당수가 문을 닫게 됐다. 문 닫은 업체의 낚싯대 제조설비들은 대부분 중국으로 팔려갔는데, 중국 낚싯대 제조 기술이 획기적으로 발전한 시기도 이 때 부터다. 

다행이 우리나라 낚시산업은 아직까지 부품산업부터 완성품까지 제조기반이 살아있다. 고급 제품은 일본 브랜드한테 치이고, 저가 제품은 중국산에 치이는 이중고를 겪으면서도 끊임없는 연구개발로 각종 악재를 이겨내고 굳건하게 내수시장을 지켜내고 있다. 해외시장에서 경쟁력을 잃지 않고 꾸준히 수출을 이어가는 업체도 많다. 

 

해외시장 개척이 살길이다 

우리나라 낚시산업이 지금보다 발전하기 위해서는 해외 시장을 넓히는 일이 무엇보다 시급하다. 하지만 우리나라 낚시업체들은 해외낚시박람회 참가조차 엄두를 내기 어려운 업체가 대부분이라 자체적으로 해외시장을 개척할 능력이 부족하다. 

해수부에서는 영세한 국내업체들의 해외시장 개척을 위해 지난해 처음으로 해외낚시박람회 참가 지원사업을 시행했다. 중국 천진낚시박람회에 참가하는 10개 업체에 500만원씩 5,000만원을 지원한 것이다. 올해는 예산을 2억원으로 확대해 지원 업체 수도 늘이고 참가 박람회도 다각화 한다고 한다. 앞으로 이런 지원정책이 지속된다면 우리나라 낚시산업의 발전에 큰 힘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런데 우리나라 낚시산업 발전을 위해 정부가 해야 할 일 가운데 해외낚시박람회 참가지원보다 더 중요한 숙제가 하나 있다. 불공정한 한중FTA 낚시용품 조항을 개선하는 것이다. 

중국과의 관세 불공정 해소 

중국은 세계의 생산공장에서 거대한 소비시장으로 바뀌었다. 우리나라 낚시업계도 중국시장을 공략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 한중FTA는 그런 노력을 방해하는 큰 걸림돌이 되고 있다. 2015년 6월 1일 한중FTA가 체결되고 같은 해 12월 20일부터 발효되면서, 중국에서 한국으로 수출하는 낚시용품의 관세는 즉시 폐지됐다. 그런데 어찌된 일인지 우리나라에서 중국으로 수출하는 낚시용품은 예전과 똑같은 관세가 부과되는 품목으로 남았다. 즉, 중국에서 우 리나라로 수출하기는 쉽고, 우리나라는 중국으로 수출하기 어려운 구조가 된 것이다. 

따라서 지금 당장은 어렵겠지만, 앞으로 중국과 FTA 관련해서 재협상할 기회가 있다면, 낚시용품 분야의 불공정한 관세율을 반드시 재조정해 줄 것을 정부에 당부한다. 

 

과도한 규제는 독약 

우리나라 낚시산업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각종 지원도 중요하겠지만, 더 중요한 것은 불필요한 규제를 가하지 않는 것이다. 과도한 규제는 낚시산업을 죽이는 독약과도 같다. 

우리나라 낚시계는 이미 해수부의 규제 정책에 한차례 몸살을 앓은 바 있다. 낚시도구에 사용되는 납을 전면 규제하는 바람에 엄청난 비용을 들여서 수많은 낚시용품을 완전히 새로 만들어야 했다. 

최근에는 부산 해운대구를 시작으로 울산과 경북 지역에서 테트라포드 낚시를 금지하기 위한 조례를 만들고 있다는 소식도 들린다. 매우 위험한 곳이라면 당연히 낚시는 물론 출입도 금지해야 하겠지만, 시민들의 친수공간으로 사랑받아온 방파제에 있는 테트라포드까지 낚시를 금지한다면, 우리나라 낚시산업은 또 한번 큰 타격을 받을 것이다. 

 

낚시산업의 세계적 위상 되찾아야 

우리나라보다 낚시산업이 발전해 있는 일본의 경우, 납 규제도 없고, 낚시 이용 분담금제도 없고, 포획량 제한도 없고, 낚싯배에 대한 규제도 거의 없고, 테트라포드 낚시도 규제하지 않는다. 우리나라 낚시 정책이 일본 만큼만 된다면 우리나라 낚시산업도 지금보다 훨씬 발전해 있을 거라는 지적이 나올만하다. 

해수부는 어업과 낚시를 동시에 관장하는 부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늘 어업인들 입장에서만 모든 정책을 수립 하는 경향이 있다. 해수부의 논리는 어업은 생업이고 낚시는 취미기 때문에, 어민들의 입장을 좀 더 반영하는 게 옳지 않느냐는 것이다. 하지만 낚시 역시 많은 사람들이 생업으로 삼는 산업이다. 낚시가 위축되면 낚시산업에 종사하는 수많은 사람들의 생업이 직접적으로 위협받는다. 우리나라 낚시산업이 다시 한 번 세계시장에서 위상을 드높이고, 우리나라 국민 모두가 자유롭게 낚시를 즐기는 그 날을 꿈꾸며 글을 마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