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산물 안전 지키는 컨트롤타워가 절실하다
수산물 안전 지키는 컨트롤타워가 절실하다
  • 김영섭 부경대학교 총장
  • 승인 2016.10.04 15:1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김영섭 부경대학교 총장

한진해운 법정관리로 물류대란과 대량해고 사태가 일어난 부산과 경남, 그 중에서도 구조조정의 광풍이 몰아치고 있는 거제에서는 콜레라 파동으로 지역경제가 만신창이가 되고 있다.

특히 불과 석 달 전에 미세먼지 논란으로 고등어가 ‘공공의 적’이 되는 해프닝으로 큰 곤경에 처했던 수산업계는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콜레라 파동까지 맞아 그 시름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미세먼지의 주범으로 고등어를 지목한 당국이 뒤늦게 해명에 나섰지만 이미 고등어 소비는 줄고 가격이 급락한 후여서 정부당국의 대처는 소 잃고 외양간 고치려는 격이라는 비판을 면치 못했다.

거제 앞바다의 콜레라 사태의 경우, 질병관리본부가 처음부터 해수오염에 무게를 두면서 거제의 횟집뿐만 아니라 전국의 수산물 판매업소들이 직격탄을 맞고 있는 지경이다. 이와 관련 최근 방역당국이 잇따라 실시한 거제 인근해역 해수조사에서 콜레라균이 검출되지 않음에 따라 이번 콜레라는 국민들의 불안을 가중시킨 채 수산물이 모든 책임을 뒤집어쓰는 속죄양이 되고 있다.

이번 콜레라 사태를 지켜보는 국민들은 당국이 사태의 책임을 무분별하게 어민들한테 떠넘긴다는 인상을 지울 수 없다. 사후에 어떤 불이익, 어떤 경제적 파장이 생길 것인지에 대한 면밀한 협의와 과학적인 대책도 없이 조사내용을 불쑥 발표부터 당국에, ‘아니면 말고식’의 언론들의 ‘흥행보도’ 행태에 어민들은 매우 힘들어 하고 있다.

이번만이 아니다. 여름의 불청객 비브리오는 해마다 얼마나 많은 1차 생산자인 어민들, 기초경제를 담당하는 횟집 등 자영업자들을 궁지로 몰아가고 있는가? 비브리오가 나왔다는 발표만 있고 아무도 그 뒤를 책임지지 않는 일이 연례행사처럼 계속되고 있는 실정이다.

생선회에서 위생적으로 가장 문제되는 병원성균은비브리오균이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우리는 비브리오 패혈증을 법정전염병(감염병)으로 지정하고 관리하는 반면에 일본은 지정하지 않고 있는데도 발병 환자 수에서 오히려 우리가 7배나 많은 이유는 비브리오 패혈증 해결을 위한 근본적인 대책에 문제점이 있다는 것을 반증한다.

전문가들은 비브리오균의 피해를 줄이려면 위생적인 조리과정이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바닷물에서 비브리오균이 검출되었다고 하더라도 이 균이 사람에 감염되는 경로를 차단하는 데 대책이 집중되어야한다는 의미다. 살아있는 생명체는 생체방어체계가 작동하기 때문에 비브리오균이 활어의 살점까지 침투하지 못한다. 아가미나 비늘사이에 묻어있던 균이 조리과정에서 조리 기구나 조리사에 의해 우리가 먹는 살점으로 옮겨가 문제를 일으키는 것이다.

그렇다면 조리할 때 칼이나 도마, 사람 손을 통해 균이 회의 살점에 오염되지 않도록 전국의 조리사들을 철저히 교육하고, 위생기준의 준수 여부를 관리 감독하고 검증하는 대책이 마땅히 수립되고 시행되어야한다.
정부당국이 정말 필요한 이런 노력들은 외면하고 검출 사실만을 계속 발표한다면 1차 생산자와 기초경제 담당자들이 입는 피해는 누가 보상해준단 말인가?

정기적으로 사회적 이슈가 되고 막대한 피해로 이어지고 있는 수산물 소비 안전과 체계적 관리, 어민 보호를 위한 정부차원의 컨트롤타워가 시급하다.

최근 필자가 몸담고 있는 부경대학교는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과 손잡고 생선회 안전관리 기준제정 작업에 들어갔다. 현재 식품안전관리인증 기준인 HACCP에는 냉동수산식품에 대한 안전관리 기준은 있지만 생선회에 대한 기준은 없는 실정이다.

만시지탄이긴 하지만 이번 생선회에 대한 안전관리 기준마련 작업이 수산생물 위생안전으로 가는 소중한 첫걸음이 되기를 기대한다. 생선회에 대한 공인된 안전관리 기준이 마련되고 전국적으로 시행된다면 생선회 위생관리 수준이 크게 향상되고 국민들이 생선회를 안심하고 섭취할 수 있음은 물론 생선회를 수출산업으로 발전시키는 계기도 될 수 있을 것이다.

수산물에 유독 과민 반응하는 사회 전반의 감정적 자세를 자제하고 이성적 합리적 대책 마련에 나서야 한다. 생산자와 소비자를 보호하기 위해서는 행정당국은 물론 학계 연구기관 등이 적극 나서서 체계적으로 문제 해결을 위해 지혜를 모아야한다.

세계 수산선진국이라고 자처하면서도 생산현장과 유통현장을 들여다보면 수산선진국이라고 말하기조차 부끄러운 현실을 직시하자. 다양한 형태의 자연재해는 물론, 인위적 재해에 대비한 종합적인 대책, 일과성이 아니라 체계적이고 선제(先制)적 행정을 펼쳐서 수산물 소비 안전을 지켜나갈 수 있는 관리시스템 구축이 절실하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