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망은 있다
희망은 있다
  • 김성욱 본지 발행인
  • 승인 2008.10.02 15:3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기도하는 마음으로

병술년이 지나고 정해년(丁亥年) 새 해가 밝았다.
지난 한 해를 어떻게 지내왔는지 반추(反芻)해 볼 겨를도 없이 그저 숨을 헐떡이며 앞만 보고 달려온 우리의 자화상(自畵像)에 아쉬움과 서글픔이 교차된다.
인간의 능력으로는 어찌해 볼 도리가 없는, 시간(時間)의 속절없음과 공간(空間)의 한계를 망각한 채 남의 탓만 하면서 오만(傲慢)과 방종(放縱)으로 지난 한해를 보낸 것은 아닌지 자성(自省)해야 할 시간이다. 한줌도 안되는 권력과 티끌만도 못한 육신(肉身)으로 찰나(刹那)를 살다 가면서도 끝이 없는 욕심으로 자신을 망치고 많은 사람들을 불행의 나락(奈落)으로 몰아가는 군상(群像)들을 바라보면서 참회하는 마음으로 두 손을 모으게 된다.
“내 탓이오!  내 탓이오!  내 큰 탓입니다!”
분열과 상극(相剋)으로 얼룩진 우리 사회를 화합과 상생(相生)으로 다시 시작할 수 있게 해달라고 간절히 기도하면서 정해년 새 아침을 맞는다.

 

 상생(相生)과 화합의 한 해 되길

2007년은 우리 민족의 앞날에 큰 획을 긋는 실로 중요한 한 해가 될 것 같다.  정치적으로는 우리나라가 한반도 정세를 이끌어갈 주체로 등장할 것인지, 아니면 국제적 외톨이로 전락하고 말 것인지? 경제적으로는 여러 가지 어려움을 극복하고 선진국대열에 합류할 수 있을 것인지, 아니면 아르헨티나처럼 경제 선진국의 문턱에서 그대로 추락하고 말 것인지? 사회적으로는 보수와 진보, 부자(富者)와 빈자(貧者), 기업가와 강성노조 등으로 양극화가 더욱더 심화되어 공멸(共滅)의 길로 들어설 것인지, 아니면 상생과 화합으로 한 층 더 성숙되고 발전된 사회를 만들어나가게 될 것인지? 그 선택의 순간이 절박하게 다가오고 있는 것이다.

특히 올 해는 우리나라가 외환위기를 맞은지 꼭 10년째 되는 해다. 1997년 12월 우리나라가 IMF(국제통화기금)의 관리체제로 넘어갈 수밖에 없었던 원인에 대해서는 경제적 분석과 정치적 논쟁, 그리고 경제사범들에 대한 재판과정을 거치면서 어느 정도 밝혀지기는 했지만 세월이 흐를수록 우리 국민들은 IMF의 악몽을 서서히 망각해가고 있는 것은 아닌지, 스스로 질문을 던지게 된다.

10년전 외환위기를 몰고 온 주된 원인이 기업의 부실대출에 있었다면 지금 우리 경제가 직면하고 있는 위기상황은 가계부문의 대출에서 시작되고 있다. 지난 연말 KDI(한국경제연구원)는 약 600조원에 달하는 가계대출이 금융회사의 리스크(Lisk)를 가중시키고 있다는 분석을 내놓았다. 부동산 경기 과열로 주택담보대출이 급증하고, 서민경제가 침체의 길을 걸으면서 과거 신용카드대란(大亂)과도 같은 위기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다는 분석이다. 그만큼 우리 서민들의 생계가 어렵고 각박해졌다는 반증(反證)이기도 하다. 새해에는 비록 가진 것은 적더라도 집값 걱정, 일자리 걱정 없이 서로 웃으며 행복하게 살 수 있게 되기를 기원할 따름이다.

 

 그래도 길은 있다

정해년에는 우리 해양수산계에도 변화와 시련의 시간이 계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시장개방문제, 특히 FTA(자유무역협정)문제에 대응할 수 있는 획기적인 방안이 없다는데 문제의 심각성이 존재한다. 정부가 내놓을 수 있는 해결책은 원론적인 범주에 머물 수밖에 없는데, 생존권이 달려있는 어업인들의 입장에서는 수산업을 살릴 특단의 대책을 요구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갈등의 골은 더욱 깊어지고 시련을 해결할 수 있는 합의점은 점점 더 멀어만 보인다.

미국에 이어 중국과의 FTA 협상이 본격적으로 전개될 경우에는 그 파괴력이 우리의 상상을 초월할 정도로 심각하리라는 것은 불을 보듯 뻔하다. 보호관세장벽에만 의존해왔던 과거의 교역패턴에서 하루 빨리 벗어나야만 한다. 이제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다. 우리 스스로가 수산업에 대한 위상을 재정립하고 미래 생존전략을 보다 치밀하게 수립해나가지 않는다면 우리나라 수산업은 급속도로 쇄락하고 말 것이다.

그렇다고 해서 우리에게 희망이 없는 것은 아니다. 수산업을 살릴 수 있는 길은 분명히 있다. 과거 30여 년 동안 계속되어온 온갖 시련 속에서도 우리 수산업은 식량산업, 바이오산업으로 새로운 패러다임을 구축해왔다는 사실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수산업의 침체를 산업고도화에 따른 필연적 결과물이라고 체념해버려서는 안된다. 정부는 물론 경제전문가들 부터 수산업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재정립하는 한 해가 되도록 우리 모두가 필사(必死)의 각오로 노력해야만 길이 열릴 것이다.

새해를 열면서 「현대해양」37년의 역사 속에 단 한순간도 끊이질 않았던 숙명과도 같은 기도를 다시 한 번 되내인다. ‘수산업은 안보와 직결되는 식량산업이다’. 삼면이 바다인 우리나라에서 어업인이 사라지고, 어선이 사라지고, 수산도시가 사라진다면 나라가 온전하게 존립할 수 있겠는가? 해양수산과 관련된 모든 제도와 법령도 이러한 바탕 위에서 순리대로 풀려나가게 되기를 기원하면서 황금돼지해를 맞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