쪽빛 바다 지켜온 선각자들 제10회
쪽빛 바다 지켜온 선각자들 제10회
  • 천금성 본지 편집고문/소설가
  • 승인 2014.08.01 14:3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제10부 수협 호에도 민주화 물결이

1

▲ 천금성 본지 편집고문/소설가
1980년대는 민주화로 날이 새고, 민주화로 날이 저물던 암울한 시기였다. 헌법은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이다’라고 선언하고 있었지만, 그걸 받아들이는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 민주공화국이라면 우선 국민의 뜻에 따라 대통령이 선출되어야 하고, 마찬가지로 모든 합법조직이나 단체의 장(長)도 이익을 공유하는 소속원들의 합의(合意)로 추대(혹은 선출)되어야 옳을 일인 것이다.

그럼에도 전두환 정권은 그 같은 국민적 염원을 외면하고 전임자의 독특한 통치철학만을 전수한 나머지 ‘4·3 호헌조치(護憲措置)’라는 엄한 규제로 국민의 입과 귀를 틀어막으려 했다. 용광로 같은 민주화 열기는 그래서 더욱 불타오를 수밖에 없었다.

그 과정에서 몇 사람의 억울한 희생자가 나오고 나서야 비로소 역사의 도도한 물줄기가 방향을 틀기 시작했다는 사실을 우리들은 안다. 그것을 우리는 ‘6월 민주항쟁’이라 부른다.

필자가 왜 이 이야기를 새삼 끄집어내는가 하는 그 역사적 과정과 고리가 오늘의 수협과 불가분한 관계를 갖고 있어서다.

6월항쟁은 그냥 나온 게 아니다. 거기에는 분명 도화선(導火線)이 있었다. 1987년 1월 14일, 아무 잘못도 없던 서울대생 박종철 군의 억울한 죽음이 그것. 이른바 ‘탁! 치니 억! 하고 죽었다’는 물고문 치사 사건을 두고 하는 말이다.

여기에 한 가지 비화(秘話)를 소개한다. 만약 살인행위를 저지른 남영동 대공분실 요원들이 그 사체(死體)를 쥐도 새도 모르게 변사처리(變死處理)하였더라면 단언컨대 6월항쟁이라는 요원의 불길은 아예 지펴지지도 않았거나 아니더라도 한동안 식은 재로 남고 말았을 것이라는 진실이 그것이다.

거기에 한 사람의 위인(偉人)이 등장한다. 1987년 당시 서울지검 공안부장검사이던 최환(崔桓) 변호사(현직)가 그 주인공.

필자는 수년 전 그와 장시간 대면하는 기회를 가졌었다. 그 기회에 필자는 지금껏 제대로 밝혀지지 않은 박 군 죽음을 둘러싼 진상(眞相)에 대해 소상히 들었으나 마땅히 공개할 기회를 갖지 못 했다. 따라서 지금 발표하는 이 글은 이 나라 민주화 성취의 과정을 되돌아보는 귀중한 자료일 뿐만 아니라, 조국 현대사의 어두운 한 단면을 소상히 접하는 기회일 수도 있어서 시대를 함께하는 어민들에게도 흥미로울 수 있겠다. 왜냐하면 수협중앙회 역시 당시의 도도한 물결에 동참하면서 오늘 보는 것과 같은 민주적 조직체로 거듭난 때문인 것이다.

<이하 내용은 월간 현대해양 2014년 8월호(통권 532호)를 통해 보실 수 있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