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도시는 선택인가, 필수인가?
해양도시는 선택인가, 필수인가?
  • 박진희 한국해양대 물류시스템공학 교수
  • 승인 2021.09.08 07:1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박진희 한국해양대 물류시스템공학 교수
박진희 한국해양대 물류시스템공학 교수

[현대해양] 삼면이 바다인 우리나라에 있어 ‘해양 즉, 바다는 곧 땅’이다.

도시공간이 커지고 산업공간이 확대되면서 부족한 육지만으로는 거주 및 산업 활동을 위한 무대가 턱없이 부족하다. 게다가 지구 온난화로 해수면의 높이는 2100년이 되면 지금보다 평균 1.1m 상승할 것이라 전망(전 세계인구 30%가 침수될 수 있는 수치로 추정)되면서 침수 대응과 해양 활용의 중요성은 더욱 커져 가고 있다. 국제환경단체 그린피스는 2030년까지 국토의 5%가 침수되고, 부산 같은 해안도시는 그 피해가 더 심할 것으로 예측했고,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인 IPCC조차도 지구의 온도가 1.5도 상승하는 시기조차 10년 이상 당겨질 것이라고 제시하고 있다.

해양플랜트 산업기반을 다져온 국내 도시들은 오래전부터 해상이나 해저도시에 관심을 가져왔다. 작게는 해상가옥에서 인공섬, 해상리조트·호텔, 해상도시, 해저도시 등이 그것이다. 2021년 7월 부산은 UN-HABITAT(유엔인간주거계획)로부터 ‘지속가능한 해상도시에 대한 역사적인 이니셔티브’에 참여해 줄 것을 요청받았다. 이때의 해상도시는 고정시설이 아닌 플로팅 시티(Floating City)를 의미하고 지속 가능성, 해양 서식지 재생, 적응성, 확장성, 커뮤니티 포용 등의 가치를 포괄하는 개념이다. 파트너 도시에 2헥타아르 규모의 해상도시인 오셔닉스 시티(Oceanix City)의 시제품이 건설된다. 이는 부산이 글로벌 해양도시로서의 위상이 강화될 수 있는 기회이자 FIRST MOVER로서 K-해상도시의 포문을 여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부산 입장에서는 비예산(건설비 2억 달러 추정)으로 추진될 수 있는 제안인 만큼 이전의 유사검토와는 사뭇 다른 입장에 있다. 1990년대부터 다양한 형태의 해상도시가 제안되었고, 2018년의 ‘해양 마린토피아’는 실증시험을 거친 계획안이기도 했다.

같은 시기 울산은 ‘미래형 해양연구시설 심포지엄’을 통해 해저도시 건설을 시사했다. 2026년까지 1단계로 수심 30~50m에 210㎥ 규모를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400~500억 원 가량의 사업이다. 울산 일대의 폭넓은 조선 및 해양 인프라를 바탕으로 해저도시를 개발한다는 시도로 주거, 관광·레저, 자원 개발, 과학 연구 등 다양한 활용이 고려되고 있다.

해상이든 해저이든 바다를 이용한 해양도시는 우리에게 선택일까 필수일까?

미래의 해양도시는 해양환경과 공생하면서 인간생활의 질을 한 차원 높게 만드는 거주공간이면서 새로운 국제질서에 기여하는 국제협력의 거점공간이 되는 지속가능한 도시로 성장할 것으로 기대된다.

해상이든 해저이든 해양도시의 실현을 위해 해양환경의 악화, 수자원의 감소, 해수면 이용자와의 갈등 해소, 자연재난의 피해 등에 대한 적절한 준비가 우선이어야 하므로 염려하는 목소리는 적지 않으나 기후환경 변화에 적절히 대응하기 위해서는 해양도시의 수용은 필수로 보인다. 이와 아울러 해운물류산업 역시 이러한 변화에 수용하면서 탄력적인 변화를 준비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