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어
민어
  • 이두석 국립수산과학원 연구관
  • 승인 2009.05.19 10:2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민어 옻칠 간 데 민어 부레 간다

 

 

△ 민어

 

 ‘백성의 물고기’란 뜻을 가진 민어(民魚)는 예로부터 남녀노소, 귀천의 구별 없이 모두가 즐겼던 생선이다. 그래서 선조들은 아무리 가난하다 하더라도 잔칫상이나 제사상에 민어만은 꼭 올렸는데 이는 민어가 비린내가 없고, 비늘이 두껍고 커서 음식으로 장만하기 편했기 때문이다.

  민어는 백색육(白色肉) 어류로 소화 흡수가 빨라 어린이들의 발육촉진에 좋을 뿐만 아니라 기력이 쇠약한 노인이나 큰 병을 치른 환자들의 체력 회복에도 탁월한 효과를 낸다. ‘복더위에 민어찜은 일품, 도미찜은 이품, 보신탕은 삼품’이라는 말이 전해오는 것처럼 더위에 지친 기력을 회복시키는 효력은 도미나 보신탕을 능가하는 것으로도 잘 알려져 있다.이 때문에 서울에서는 오늘날까지도 삼복더위에 민어국으로 복달임을 하는 풍습이 전해지고 있다.

 민어는 특히 다른 생선들과 달리 부레가 다양한 용도로 이용된다. 동의보감에는 민어를 회어라 했으며 ‘맛이 좋고 독이 없다. 부레는 어표라고도 하는데 갖풀(아교(阿膠))을 만들어 쓰면 좋으며 파상풍을 치료하기도 한다’고 기술돼 있다.

 민어의 부레를 끓여서 만든 부레풀은 어교(魚膠), 어표교, 민어풀이라고도 불리는데 교착력이 강해 우리 선조들은 고급 장롱을 비롯해 문갑, 등가구를 만들거나 합죽선의 부챗살과 갓대를 붙일 때 널리 이용했다. 

 ‘옻칠 간 데 민어 부레 간다’는 속담은 이러한 배경에서 비롯됐다. 이는 강강술래에 나오는 ‘이 풀 저 풀 다 둘러도 민애풀 따로 없네’라는 매김 소리와도 관련이 깊다. 어느덧 화학 접착제에 밀려나고 말았지만 천년을 가도 썩지 않는 옻칠과 궁합이 잘 맞아 접착제로도 그 효능이 뛰어난 게 바로 민어풀이다. 천년을 간다는 옻칠과 부레풀은 궁합이 잘 맞는다는 의미이다.

 또한 민어의 부레는 교질 단백질인 젤라틴과 콘드로이틴이 주성분으로서 이들은 피부의 노화를 예방하면서 탄력을 주는 것으로도 널리 알려져 있다.

 ‘암치 뼈다귀에 불개미 덤비듯’이란 속담도 있다. 암치는 배를 갈라 소금에 절여 말린 민어의 암컷, 혹은 배를 갈라 소금에 절여 말린 민어를 통틀어 이르는 말(염민어)이고 혹자는 민어의 새끼를 암치라고도 한다. 이익이 있을 만한 것에 뭇사람이 덤비는 것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이다. 

 이 밖에도 우리의 선조는 민어 부레를 ‘가보’라고 불리는 음식을 만드는데도 활용했다. ‘가보’는 민어 부레 속에 쇠고기, 두부, 오이 등으로 소를 넣고 삶아 둥글게 썰어서 먹는 음식으로 일종의 어(魚) 순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