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바다 푸르게 푸르게
우리 바다 푸르게 푸르게
  • 박종면 기자
  • 승인 2020.01.06 10:4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현대해양] 새해가 밝았다. 하지만 새해 벽두부터 슬픈 소식을 먼저 전해야 할 것 같다. 공식통계는 나오지 않았지만 지난해 우리나라 연근해어업 생산량이 90만 톤 언저리에 머문 것으로 알려졌다. 2016년에 1972년 이후 처음으로 100만 톤이 붕괴됐다가 2018년에 겨우 100만 톤대를 회복했는데 다시 무너져 역대 최저치를 경신할 것으로 추정된다고 한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수산업관측센터에서 관측하고 있는 어종 중 고등어, 오징어, 갈치, 멸치 등 대부분의 대중성 어종이 줄고 참조기 등 일부 어종만 어획량이 증가한 것으로 보고된다. 생산량 감소 원인으로 기상악화, 어장축소, 중국어선 입어, 조업규제 등 다양한 원인이 있겠지만 많은 전문가들이 자원관리의 실패를 최고의 원인으로 지적하고 있다.

연근해 어획량 100만 톤은 어업인들에게 심리적 마지노선으로 다가온다. 그렇지만 100만 톤 붕괴에 일희일비하지 말아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한다. 이는 장기적 안목으로 바라보자는 뜻이다. 즉, 어제 오늘 기온이 다를 수 있는 것처럼 어획량 등락에 연연하지 말고 장기목표를 세우고 그에 따른 치밀한 계획을 실행해 나가자는 것이다. 지속 가능한, 선진 수산업을 이어가기 위해 좀 더 계획적이고 장기적인 수산자원 관리에 돌입해야 한다는 것이다. 어떤 수산학자는 5년 만 물고기를 잡지 않으면 자원량이 금세 회복될 것이라고 하지만 이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일이니 체계적인 자원관리가 필요하다는 뜻이기도 하다.

체계적인 자원관리 방법으로 주목되는 것은 TAC(총허용어획량)제도의 확대 적용이다. 우선 어획량 조사를 고도화, 내실화 한 뒤 TAC 대상어종 확대 등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에 앞서 TAC제도로 관리되지 않는 어업인들이 TAC 대상어종을 어획하지 못하도록 관리하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도 요구된다는 지적이다.

뿐만 아니라 우리의 롤 모델을 찾자는 것이다. 지금까지 가까운 일본을 벤치마킹하는 경우가 많았다면 이제는 우리보다 생산량 조절, 품질 관리, 마케팅 등에서 뛰어난 노르웨이, 아이슬란드, 뉴질랜드 등의 수산 선진국에서 해답을 찾자는 것이다. 특히 아이슬란드는 인구 33만 명에 면적은 한반도의 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작은 나라이지만 수산업에 있어서는 세계 강국 중 하나로 꼽힌다. 류정곤 KMI 명예연구위원은 “아이슬란드가 최첨단을 달리는 수산국가이지만 우리가 그만큼 못할 이유가 없다”며 “수산업에 있어서 아이슬란드, 노르웨이에 뒤지는 일본을 벤치마킹할 것이 아니라 최고국가를 벤치마킹한다면 일본보다 앞선 수산 선진국이 될 수 있다”고 확신한다.

나무를 베어 만든 펄프로 화장지를 제조, 공급하는 모 기업은 모순적이게도 ‘우리 강산 푸르게 푸르게’ 캠페인을 수십 년 간 이어오며 기업을 발전시키고 있다. 우리 어업인들도 같은 방법으로 잡으면서 기르고 방류하고 적정 어획강도를 유지하는 방법으로 자원을 관리한다면 지속 가능한 수산업은 현실이 될 수 있을 것이다. 2020년 올해부터는 ‘우리 바다 푸르게 푸르게’를 외치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