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업기술 지도 보급 등으로 어업인 삶의 질 향상에 노력
어업기술 지도 보급 등으로 어업인 삶의 질 향상에 노력
  • 박종면 기자
  • 승인 2013.08.13 14:0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충남 수산관리소 태안사무소

어촌 후계인력 육성…국가기관에서 지자체로 이관 


농촌에 가면 농촌지도사가 있다. 이들이 하는 일은 궁극적으로는 농가 소득증대를 통한 농업인 삶의 질 향상을 꾀하는 것이다. 그러다보니 늘 농업인들과 가까이 있게 되고 누구 집에 숟가락이 몇 개가 있는지 까지 알게 된다. 마찬가지로 어촌에 가면 이들과 비슷한 일을 하는 이들이 있다. 바로 어촌지도사들과 해양수산직 공무원들이다.

충남남도 수산관리소 태안사무소는 국가기관에서 지방자치단체로 이관된, 어업인 지도 및 지원 기관이다. 이곳에 어촌과 수산인들을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하는 어촌지도사들과 해양수산직 공무원들이 근무하고 있다. 수산관리소(지자체마다 이름이 조금씩 다름)는 2009년 5월 농림수산식품부 국립수산과학원 소속 사무소에서 지자체로 이관됐다가 올해 해양수산부 재출범으로 국가기관으로의 재이관 기대를 모았었다.

▲ 현미경을 통해 플랑크톤을 관잘하고 있는 충남 수산관리소 태안사무소 직원들

충남수산관리소에는 본부 역할을 하는 수산관리과와 태안사무소, 서산사무소 등 2개의 사무소가 있다. 태안사무소 직원은 총 6명. 소장(5급) 1명에 6, 7급 각 2명, 그리고 9급 공무원 1명이 근무하고 있다. 이들은 태안군 관내 어가 4,450호, 자율관리공동체 47개소, 어장 487개소, 6,000ha에 이르는 어업권을 지원 관리하며 1만 어업인들의 등대 역할을 하고 있다. 

이들의 주업무는 △어촌후계인력 육성 △귀어가(歸漁家) 정착지원 △양식어장 관리 및 수산업 경쟁력 확보 △생산기반조성 및 수산자원회복사업지원 △수산물 안전생산지도 및 어업인 지도 △수산질서 관리 및 수산시책 홍보 등으로 어업인들과 떼려야 뗄 수 없는 이들이다. 이들의 하루는 어업현장에서 시작해 어업현장에서 끝날 정도로 늘 출장과 현장 업무가 이어진다. 물막이(축제식) 해삼 양식장에서 만난 강종순 주사보는 “양식어장 관리지도, 어업인 교육, 폐사어장 조사, 연구교습어장 운영, 청소년수산교실 운영, 수산현장 기술지원단 운영, 어장환경조사 등 할 일이 많은데 적은 인원으로 하다 보니 늘 일손이 부족하다”고 어려움을 털어놨다.

또 현장지도 업무 위주로 이뤄지는 직업 특성상 지도직이 더 필요해 보인다. 그러나 지자체에서 선발하는 인원은 수산직 위주다. 어민들이 절실히 필요로 하는 지도기능을 갖춘 어업지도직 공무원은 특채 형식으로 매우 드물게 채용하고 있다.

태안은 요즘 서해수산연구소 연구와 실험, 종묘방류 효과조사 결과 해삼 양식 적지로 선정돼 이와 관련된 인공어초 개발 등 연구, 기술 보급이 시급한 상황이다. 이와 더불어 새꼬막 이식실험에도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어가 소득 증대와 어업인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각종 연구와 기술전수를 비롯한 다양한 지원을 위한 충남수산관리소 태안사무소의 역할이 기대된다.

 



“어르신들 투자 꺼려…잘 사는 어촌 위해 기술 보급 주력”
충남 수산관리소 태안사무소 조시채 소장

▲ 조시채 충남 수산관리소 태안사무소장
“나이 많으신 어업인들이 투자를 꺼려 어려움이 많습니다.”

조시채 충남수산관리소 태안사무소 소장은 어업인구 감소와 고령화로 애로가 많다고 말한다. 특히 어촌사회가 청년 어업인 수가 적고 고령화 되어가고 있어 새로운 시설 투자에 인색해진다는 것. 어업인 고령화는 시설투자 인색만 불러오는 것이 아니다. 교육과 지도에도 어려움이 있다. 어르신들이 신기술 이수와 습득에 큰 관심을 보이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러다보니 그간의 경험치와 과학적 실험적 근거가 없는 주변인들의 말만 믿고 따르다 시행착오를 일으키는 경우가 적지 않다고 한다.     

조 소장은 이 외에도 애로사항으로 인원 부족과 기능약화를 꼽는다. 조 소장은 “현장 출장이 많다보니 늘 인력이 부족하다”며 “수산종묘생산확인서 발급 같은 행정지원 인원이 부족할 때도 있다”고 아쉬움을 토로했다. 또 조 소장은 “우리 사무소가 지자체에 이관된 이후 장점도 있지만 고유업무인 어업기술 지도 보급 기능이 약화된 것이 제일 안타깝다”고 덧붙였다.

기술 지도 보급 기능이 약화된 것은 지자체 고위직 공무원들과의 인식 차이 때문으로 보여진다. 지자체 고위직 공무원들과의 인식 차이는 전문성을 배제한 행정직과의 인사교류로 이어지고, 구조조정 대상이 되기도 한다. 이는 곧 고용불안으로까지 이어진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국가직을 희망하는 이들도 있다고. 공무원들이 안정성을 되찾고 잘 사는 어촌을 만들기 위해 순수 지도 위주의 업무가 이뤄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조 소장은 “어업인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복지서비스가 더 강화돼야 하며, 이를 위해서 더 많은 관심과 예산 투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