漁村과 海村
漁村과 海村
  • 송영택 발행인(수산해양정책학 박사)
  • 승인 2019.11.05 09:1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현대해양] 최근 한 세미나에서 만난 해양관광 분야 저명한 교수님의 말씀이 떠올라 소개합니다.

“10년 이내 우리나라 대부분의 어촌(漁村)은 사라질 것이고 해촌(海村)만 남게 될 것입니다”

노령인구가 증가하고 어업인 수가 급격히 줄고 있는 현 시점에서 어촌공동체를 지지하기 위한 정부의 적극적인 노력을 주문하는 취지의 말씀이었지만 개인적으로는 바닷가 마을이란 어업을 하는 어민이 모여 사는 곳이라는 일반적 인식이 바뀔 수도 있다는 것에 새삼 놀라게 되었습니다.

2000년 25만여 명이던 어업인구는 2018년 말 현재 12만 여명으로 줄어들었습니다. 어촌의 65세 이상 노인인구 비율을 말하는 고령화율은 36.3%(전국 평균 15.3%)에 달하고 있습니다. 실제 도서지역의 인구감소는 심각한 상황이며 외국인 노동자 수가 마을주민 수보다 더 많은 어촌도 있다고 합니다. 강원 경북, 전남, 충남의 연안지역 대부분은 소멸 위험지수(2030여성인구/고령인구)가 0.5 미만으로 이미 소멸 위험 지역이 되고 있습니다.

정부에서도 사태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어촌과 어업공동체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어촌뉴딜300사업을 포함한 어촌·어항 개발사업을 적극적으로 시행하는 한편 도시의 우수한 노동 인력을 어촌으로 불러들이기 위해 귀어귀촌 정책도 활발히 펼치고 있습니다. 사회적 기업, 농어업경영체 육성을 통해 연안 지역경제 활성화를 도모하고 있기도 합니다. 또 우리나라가 우위에 있는 ICT기술을 활용하여 어촌의 부족한 노동인력을 대체하고자 5G 시대에 맞춰 스마트 양식기술 개발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정부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과거 활기와 기회가 넘치는 어촌으로 되돌리기는 시대적 상황이 여의치 않은 듯 합니다.

이제는 어촌에 대한 재해석이 필요하고 새로운 의미를 부여할 때가 되었다고 보여집니다.

전통적인 어업인 중심 공동체를 최대한 유지하면서도 공간과 자원(Amenity), 사람이 융합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과 프로세스를 개발할 필요가 있는 것이지요.

물론 정부도 이러한 고민을 꽤 오래전부터 해오고 있던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러나 그동안 정부의 사업이나 정책들이 파편적으로 또는 단순 아이디어 위주로 시행되어 꽤 많은 실패사례를 낳았습니다. 또 그 책임을 어촌공동체가 안게 되는 구조적인 문제도 있지요. 이제는 관성에서 벗어나 그동안 세상에 없던 새로운 방식의 어촌 만들기를 시도해야겠습니다.

앞으로 10년 후에는 어촌이 관리의 대상이 아니라 전통과 철학이 깃들어 있으면서도 세련된 콘텐츠가 충만하여 세상의 변화를 이끄는 공간으로 변모되길 기대합니다.

어민들이 거친 파도를 헤치고 잡은 생선이 국민들의 식탁에 올라가는 비용이 얼마나 될까요?

화폐로 환산할 수 없는 무궁한 가치일 것입니다. 이 이유 하나 만으로도 바닷가 마을이 海村이 아닌 漁村으로 유지되어야 함을 설명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