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産 불매운동으로 기지개 켜는 국산낚시용품
日産 불매운동으로 기지개 켜는 국산낚시용품
  • 최정훈 기자
  • 승인 2019.08.19 23:0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브랜드 포지셔닝 강화해야

[현대해양] 일본 제품 불매운동이 의류, 소재, 차량 등 전방위로 확산되는 가운데 일본이 장악한 국내 낚시용품도 도마 위에 올랐다. 그간 무대 뒤로 밀려났던 국산용품이 재조명되면서 낚시꾼들의 관심을 타고 세계시장에 진출해야 하는 대반등의 중대기로에 선 시점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국산품 구매 독려 촉진 중

해양수산부 추산 2016년 기준 우리나라 낚시 인구가 767만명에 이를 정도로 대중적인 수상레저활동으로 자리매김한 낚시. 이러한 ‘낚시붐’에 막대한 수혜를 본 국가가 바로 일본이다.

국내낚시용품은 대부분이 중국, 일본 수입품으로 고급용품은 일본제품, 가성비가 높은 저가용품은 중국제품으로 양분돼 있다. 하지만 중국산이라고 해도 대부분 중국에서 생산하는 OEM방식의 일본제품인 것으로 알려졌다.

낚시가 취미인 32살 의사 A씨는 “낚시를 오랫동안 해본 낚시꾼 중 일본낚시용품을 안 써본 사람은 없을 것이다”며, “‘도시어부’에서 연예인들이 쓰던 낚싯용품도 일본제품들로 심심찮게 방영됐다”고 털어놨다.

낚시용품을 판매하는 온라인 쇼핑몰에서도 눈에 띄도록 대대적으로 홍보하는 제품은 일본제품들이며 특히 일본 시마노, 다이와 브랜드 용품은 수요층이 많아 별도 섹션이 마련됐을 정도다. 그간 부대 용품인 낚시의류, 가방 등에서도 일본 브랜드 선호가 높았고 심지어 차량에도 일본 낚시용품 브랜드가 새겨진 심볼을 부착하는 등 낚시꾼들에게는 '일본제품 애용가가 곧 진정한 낚시꾼'라는 철칙이 존재했다.

이처럼 일본제품이 만연한 낚시용품시장에서 최근 불매운동의 일환으로 국산품 대체 운동이 촉발돼 유투브, SNS를 타고 들불처럼 번지고 있다. 한 유투버는 본인이 소유했던 400만원 상당의 일본낚시용품을 과격하게 찢어 부수는 영상을 공개했으며, SNS 상에서는 국산으로 대체할 수 있는 일본 낚시용품을 브랜드별로 일목요연하게 정리한 자료가 공유되고 있다.

실제로 불매운동 효과가 서서히 나타나고 있다. 지난 14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더불어민주당 김정우 의원실이 관세청으로부터 제출받은 대일본 주요 품목별 수입현황에 따르면 낚시용품은 지난달 수입액이 438만8,000달러로 전년(509만2,000달러) 대비 13.8% 소폭 감소한 것으로 밝혀졌다.

 

기술력 간극 좁혀 신뢰 제고

지금 당장 일본낚시용품 없이 낚시가 가능할 것인지에 대해 낚시꾼들의 다소 부정적인 반응도 있다. 유투브 방송을 하는 낚시꾼 B씨는 “낚시대 정도는 국산으로 대체 가능한데 릴, 특히, 브레이크 릴은 국산에는 없다고 봐도 무방하다. 또한, 낚시줄만 특화한 업체가 없어 제대로 된 낚시줄이 없다고 본다”고 전했다.

일본제품에 의존 없이는 그간 낚시 패턴을 유지하기 힘들 소지가 크다는 우려는 국산제품의 기술력에 대한 신뢰가 부실하다는 것을 반증한다. 우리나라 낚시 기자재업체들은 대부분 영세하여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기술 연구개발(R&D)이 현실적으로 버거웠던 것이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의 '수산업 주요 기자재의 글로벌 경쟁력에 관한 연구' 자료에 따르면 2016년 낚시 및 수렵용구 제조업의 사업체는 국내 58개소, 종사자수는 1,602명으로 조사됐다. 출하액 규모별로 10~50억원이 31개소 전체 업체 중 53.4%, 50~100억원이 8개소(13.8%), 5~10억원이 7개소(12.1%)로 연간 출하액 50억 미만의 업체가 전체 70%를 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에 반해 일본은 미국보다 낚시기자재 산업에 후발주자로 나섰지만 수십 년 간 연구를 통해 세계 정상 수준의 브레이크 릴 등 특수 기술을 보유했고 다국적 글로벌 기업을 이뤄 시장 선두를 달리며 브랜드 파워도 구축한 상황이다.

▲보유한 일본낚싯대를 부수는 유투버(유투브 자료화면)
▲보유한 일본낚싯대를 부수는 유투버(유투브 자료화면)

 

될성부른 국산품, 세계시장 뛰게 해야

기술력 제고로 일본과의 격차를 좁히게 되면 세계 시장에서 입지를 넓힐 가능성이 있다. 낚시는 단순히 낚싯대, 낚시휠, 낚시바늘, 미끼뿐만 아니라. 낚시의류, 릴보조장비, 수심측정기, 어탐기, 보트, 캠핑, 아웃도어, 숙식, 교통 등도 동반 활성화시키는 산업이다.

KMI 해외시장분섹센터에 따르면 2016년 기준 세계 낚시 기자재 산업규모는 22억달러, 최근 5년 성장세를 보면 전체적으로 연평균 3.8% 높은 성장률을 보이고 있다. 오는 2022년 28억4,000달러 규모로 상승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KMI의 '수산업 주요 기자재의 글로벌 경쟁력에 관한 연구'에 따르면 한국은 2016년 기준 수출 규모면에서 세계 6위이다. 미국, 일본, 중국, 파라과이, 영국 등이 주요 수출국이다. 낚싯대, 낚시릴, 낚시용 망, 낚싯바늘 등 다양한 품목이 교역되며 낚시릴과 낚시용 망의 교역이 전체 교역액의 약 60%를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낚시용 망, 기타 낚시용품의 경우 수입이 많아 무역수지 적자를 면치 못하고 있으나 낚시릴, 낚싯바늘, 낚싯대의 경우 꾸준히 무역수지 흑자를 기록하고 있다. 이에 영세한 업계를 대신한 정부가 적극적인 R&D에 투자를 통해 우리나라가 경쟁력을 가질 수 있는 부문을 중심으로 낚시 기자재 산업을 끌어올려야 한다는 것이 전문가의 주장이다.

또한, 글로벌 브랜드 구축도 동반돼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브랜드 및 인지도 확산은 단시간에 이뤄지지 않는 만큼 브랜드 일관성을 유지하여 장기간에 걸쳐 낚시꾼들과의 신뢰 축적을 쌓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낚시 기자재 산업 활성화를 위해 근거법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낚시 관련 법은 ‘낚시 관리 및 육성법’이 유일한데 이 법 안에 낚시 기자재 육성을 위한 지원 대책을 위한 근거는 미약한 상황이다. 또한, 자체 개발한 고유 기술이 있더라도 특허권에 대한 보호장치가 실효성 있게 확보돼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모든 산업 전반에서 소재의 국산화 목소리가 힘을 받고 있는 지금이 국산낚시용품이 날개짓 할 수 있게 할 시점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