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LNG선박 수주 독주에 대한 글로벌 반응
韓 LNG선박 수주 독주에 대한 글로벌 반응
  • 최정훈 기자
  • 승인 2019.08.11 12:2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단가, 인력, 업력 넘지 못할 철옹성

[현대해양] 세계적으로 액화천연가스(LNG) 수요가 늘어나면서 한국에 LNG선 수주가 몰리자 일본, 중국, 미국 선진국들의 미묘한 대응책들이 포착되고 있다.

 

中 여전히 기술력 달려

해운조선분석전문기관 클락슨리서치(Clarksons Research)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1월부터 6월까지 조선 빅3(현대중공업, 삼성중공업, 대우조선해양)가 17만㎥급 이상 대형 LNG선박 발주 24척 중 23척을 가져간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에도 조선 빅3는 전세계 발주 76척 중 66척을 수주하며 싹쓸이 현상을 고착화시키고 있어 타 경쟁사들이 LNG선 신조 시장에 섣불리 진입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한국과 조선 1, 2위를 다투는 중국은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을 등에 업고 고부가가치 선박 건조에 박차를 가하고 있으나 한국과의 기술 격차가 쉽게 좁혀지지 않고 있어 고전하고 있다.

중국은 중국선박공업집단(CSSC)과 중국선박중공집단공사(CSIC)가 LNG선 건조 역량을 보유하고 있으나 후동중화조선소(CSSC 산하)가 건조한 LNG선이 지난해 엔진결함으로 운항 2년 만에 폐선되는 수모를 겪으면서 발주처의 시선은 멀어졌다.

중국은 대형 LNG연료추진선으로 초점을 돌린 상황이지만 지난 2017년 9월 프랑스선사로부터 수주한 LNG연료추진선 인도일이 지난달까지였음에도 인도가 지연되고 있고 연말께나 인도가 가능할 것으로 전망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 LNG선박 (사진=삼성중공업)
▲ LNG선박 (사진=삼성중공업)

 

LNG 수주 체념한 日의 시큰둥한 지적

일본은 LNG선박 기술력 및 전문인력을 여실히 보유한 상황이지만 단가 면에서 건조가 어려워 응찰 자체를 보류하고 있는 실정이다. 일본해사신문에 따르면 지난달 26일 이마바리 조선소의 히가키 유키토(檜垣幸人) 대표이사는 기자 회견에서 “LNG선박 건조는 비용을 감안할 때 우리 조선소에서는 건조가 힘들다. LNG선박 건조 기술자 등 인력이 성장하고 있어 10년 내에 채산성 등이 만족되면 수주가 가능할 것”이라고 털어놨다. 

LNG선 시장 진입에 별다른 묘수가 없는 일본 최대 조선소 수장인 그는 한국 조선업을 겨냥한 비판 섞인 목소리를 냈다. 히가키 대표이사는 “공적 지원을 받는 한국 조선이 저가 수주를 필두로 수주량은 늘어날지라도 이익이 나는 것 같아 보이지 않는다”고 꼬집었다. 이어서 “한국 조선업은 인건비가 저렴한 필리핀에서 건조해도 이윤이 거의 남지 않아 파산한 한진중공업 필리핀 수빅 공장(HHIC-Phil) 선례가 있다” 며, “한국 주요 조선업의 결산실적을 보아도 분기 단위에서 가끔 흑자를 보일뿐, 연간 단위에서 의미있는 실적이 나오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출혈 경쟁으로 인한 저가 수주가 한국이 자랑스러운 일이라고 판단하는 것은 잘못됐다며 왈가왈부하고 있는 것이다.

일본 최대 조선소인 이마바리 조선은 LNG선을 제외한 상선 건조에 역량을 집중한다는 방침이다. 지난해 78척을 수주한 이마바리 조선은 건화물운반선, 초대형원유선(VLCC), 대형컨테이너선, 피더 컨테이너선 등에서 약진하며 매출액의 경우 전년도 대비 9% 늘어난 3,911억엔(원화 3조9,110억원)을 기록했다. 발주 잔량은 3년 가량이다.

 

美, 자국 조선소서 LNG선 건조 전격 제안

호주, 카타르에 이어 세계 3위의 LNG 수출국인 미국에서는 LNG선 시장의 청신호를 포착하고 자국 LNG선박 확충으로 침체된 조선업을 활성화하고 일자리 창출을 도모하자는 분위기가 조성되고 있다.

최근 존 개러멘디(John Garamendi) 하원의원과 로저 워커(Roger Wicker) 상원의원이 미국의 해상 상거래를 규제하는 연방법인 존스 법(John’s Act)과 별개로 ‘미국선박법(Energizing American Shipbuilding Act)’ 도입을 전격 제안했다고 해양관련 언론매체인 ‘세이프티포씨(Safety4sea)’가 보도했다.

게러멘디 하원의원은 “전세계 LNG 수요가 늘어나고 있는 가운데 미국 선박은 2041년까지 전체 해상 LNG 수출의 15%를, 2033년까지 전체 해상 원유 수출의 10%를 운송하게 된다”며, “이 법안 통과로 선박 발주가 촉진돼 미국 내 조선소 및 기자재 산업이 활성화되고 일자리가 늘어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미국조선협회는 이 법안 통과로 2041년까지 28척의 LNG선과 2033년까지 12척의 유조선, 총 40척여척이 건조될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아울러 워커 상원의원은 “미국이 국가비상 사태와 같은 유사시 석유와 LNG를 운반할 수 있는 자국 선대를 갖추게 될 것”이라며 안보 취지의 이유를 부각시켰다.

하지만 미국이 LNG선 건조에 단기간에 불 붙이기는 불가능하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업계 관계자는 “세계 2차 대전 이후 서서히 가동이 중단된 미국 조선업은 해군력 때문에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며, “조선업에서는 전문인력이 가장 중요한데 그래서 한, 중, 일을 비롯해 특정 지역에서 조선업이 발달한 것이다. 미국의 현재 모든 환경을 감안할 때 조선업 대반등은 어렵다”고 진단했다.

이어서 “정치인이 그저 세몰이 하겠다는 의도로 보이며 큰 의미를 부여하기는 곤란하다”고 전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